[신형수 기자] 박근혜정부의 첫 정기국회가 30일 정상 운영에 들어간다. 이에 여야는 정기국회의 주도권 싸움을 위한 전열정비에 들어갔다.
우선 다음달 1일에는 기초연금 후퇴 논란과 채동욱 검찰총장의 혼외아들 의혹에 대한 긴급현안질의를 하고, 14일부터 11월2일까지 20일간 국정감사가 진행된다.
11월 7~8일 이틀 동안 교섭단체 대표연설이 예정돼 있고, 12~18일 정치, 외교·통일·안보, 경제, 교육·사회·문화 분야에 걸쳐 대정부질문을 한다.
11월11일에는 내년도 예산안과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대통령 시정연설을 청취할 예정이다.
하지만 정기국회 내내 파행이 될 지뢰가 곳곳에 포진돼있다. 국가정보원 개혁, 기초연금을 비롯한 복지후퇴 논란, 국회선진화법 개정, 채동욱 검찰총장 사퇴 압박설, 세법 개정안, 무상보육 재원 마련 방안, 부동산 대책 등 민감한 현안이 계속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민주당은 국정감사에 상당한 신경을 쓰고 있는 모습이다. 이미 김한길 대표는 정기국회 중에서도 국정감사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했다. 또한 국정감사 기간 중에 10월 재보선이 있기 때문에 국정감사를 통해 박근혜정부의 실정에 대해 알리겠다는 각오다.
여기에 채 총장의 사표가 수리되고,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마저 사표가 수리가 된다면 대대적인 개각이 불가피하다. 그렇게 된다면 정기국회 도중에 인사청문회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즉, 여야는 주도권 싸움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