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만남이 이번주에 성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러시아․베트남 순방을 마치고 돌아오는 오는 11일부터 18일 사이에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여야 대표는 9월 정기국회가 일주일째 공전이 되고 있다는 사실에 꼬인 정국을 풀기 위한 박 대통령과의 회동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하지만 회담 형식과 내용을 놓고 막판까지 신경전이 여전하다. 회담 형식으로는 청와대가 여야 원내대표까지 포함한 5자 회담을 고집하고 있지만 민주당은 영수회담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민주당은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 박 대통령의 사과, 남재준 국정원장 해임, 국회 차원 국정원 개혁 논의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청와대는 민생에 국한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꼬인 정국을 계속 둘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극적인 대타협을 이룰 가능성도 높다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시선이다.
특히 지난 5일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가 예고도 없이 서울 시청광장에 있는 민주당 천막당사를 찾는 등 대화 분위기 조성에 나섰다. 민주당도 대화의 형식이나 의제에 가급적 제약을 받지 않게 하려는 고민을 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문제는 박 대통령의 결단이라고 할 수 있다. 영수회담과 국정원 문제에 대해서 함께 논의할 수 있는 자세만 된다면 박 대통령과의 회동은 금방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