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만나자는 것에는 청와대와 새누리당 그리고 민주당 모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만남 형식을 놓고 청와대와 새누리당 그리고 민주당은 모두 다른 소리를 하고 있다. 때문에 만남은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정기국회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만남 형식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면서 만남은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기국회에는 정기국회 만의 일정뿐만 아니라 내년 새해 예산안 까지 다뤄야 한다. 하지만 여야가 극한 대치 상황으로 번지면서 정기국회 자체가 파행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
이미 새누리당은 결산을 위한 상임위를 이틀 연속 소집했지만 민주당은 장외투쟁을 접게 하려는 꼼수에 불과하다면서 버티고 있는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민생 논의’를 위한 ‘5자회동’을 제안했다. 그 이외의 제안은 수용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민주당은 국정원 개혁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지 않는다면 만남의 의미 자체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박 대통령을 만나 자신들의 입장을 요구하고 그에 합당한 선물을 받아야 국회로 돌아갈 명분이 생긴다는 것이다. 때문에 국회로 돌아가지 않고 버티고 있는 것이다.
청와대는 민생 카드를 꺼내들면서 민주당의 국회 복귀를 더욱 압박하고 있다. 여론을 환기시켜서 민주당을 압박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민주당은 절대 굴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서로의 입장만 재확인하는 수준이다. 때문에 누군가 정치적 협상력을 제대로 발휘해야 하는데 그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서로가 자존심 싸움으로 번지면서 정기국회는 다가오고 있지만 아직도 이렇다할 윤곽조차 제대로 잡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