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을 위한 청문회를 14일 실시하기로 했지만 핵심증인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불출석하면서 무산됐다.
이에 오는 19일과 21일 예정된 일정도 사실상 ‘파행’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는 이날 10시 국회에서 첫 청문회를 열 계획이었지만 두 사람이 출석하지 않아서 열리지 못했다. 이로 인해 여야 특위 위원들만 참석, 책임공방이 벌어졌다.
원 전 원장은 지난 13일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에게 증인 불출석 사유 소명서를 보냈다. 소명서에는 “요구서에 기재된 심문 요지를 검토해 본 결과, 그 내용 모두가 현재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계류 중인 국정원법 위반 등의 형사사건과 관련돼 있거나 국정원법에 따라 진술하기 어려운 내용”이라며 “또 저는 현재 영어의 몸으로 건강 또한 좋지 못하다”고 증인 불출석 사유를 설명했다.
김 전 청장도 하루 앞선 지난 12일 국회 행정실로 “재판준비기일이 겹쳐 출석하지 못한다”는 취지의 ‘불출석 사유서’를 보낸 바 있다.
이에 민주당은 오는 16일이라도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두 사람에 대해 동행명령서를 즉각 발부하고, 고발하겠다는 방치미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오는 16일 청문회는 불가하다면서 21일 청문회에는 꼭 참석해야 한다면서 동행명령서 발부 등에 대해서도 다소 부정적인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