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국가기록원에 보관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가장 난감한 정당은 민주당이 됐다. 반면 기사회생한 정당은 새누리당이다.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은 국정원에서 공개할 당시만 하더라도 새누리당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했다. 그 이유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NLL 포기 발언은 아니라는 응답이 절반 이상 나왔기 때문이다.
더욱이 국정원 국정조사 이슈로 넘어가는 타이밍이었다. 때문에 국정원 국정조사 이슈로 모든 언론이 도배될 가능성이 높아보였다.
따라서 새누리당으로서는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했다. 그런데 그 돌파구를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마련해준 것이다.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대화록 원본을 공개하자고 먼저 제안했고, 결국 국회 본회의까지 통과됐다.
하지만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대화록 원본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혀지면서 민주당 특히 친노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기사회생하게 됐다. 일단 국정원 국정조사의 시선을 대화록 존재 유무로 돌렸다는 점이다. 그리고 대화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혀지면서 이제는 대화록을 과연 누가 폐기했느냐의 이슈 논쟁으로 넘어가게 됐다.
즉, 향후 이슈 논쟁도 국정원 국정조사가 아니라 대화록 폐기를 누가 시켰냐이다. 새누리당으로서는 국정원 국정조사 소나기를 피해가면서 민주당을 압박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마련한 것이다.
반면, 민주당은 큰 위기에 봉착했다. 야권 지지층은 국정원 국정조사 실시를 요구하고 나섰다. 매일 각 지역에서는 촛불시위도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이 이에 대해 제대로 응답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