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남북 실무접촉 대표가 오는 12일 서울에서 남북장관급회담을 열기로 사실상 합의했다.
이로써 지난 2007년 6월 제21차 회담이 열린 이후 6년 만에 장관급회담 개최키로 함에 따라 사흘 앞으로 다가온 장관급 회담의 논의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 양측이 12일 서울에서 장관급 회담을 한다는 걸 기본 사안으로 깔고 의제 설정 문제, 대표단의 규모나 체류일정, 경로 등을 이야기하고 있다"며 "일단 서로가 합의서 문안을 주고 받았다”고 밝혔다.
남북 양측은 이날 오전회의에 이어 오후에 세 차례 수석대표 접촉을 통해 합의서의 구체적 내용을 조율하고 있다. 이어 오후 7시35분부터는 4차 수석대표 회의가 시작됐다.
회담 의제와 관련, 북한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 특별담화문에서 밝힌 내용을 얘기했고 우리 정부는 장관급 회담을 제의하면서 제시한 개성공단 정상화, 금강산 관광 정상화, 이산가족 상봉 등의 현안을 논의하자고 제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 양측은 회담 대표단 규모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조율 중이며 체류 일정은 하루 이상으로 하자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고 통일부 당국자는 전했다.
남북 대표단은 이날 2∼3차례 추가 회담을 가진 뒤 남북 공동으로 합의문을 채택,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이 당국자는 “남북관계는 돌발사항이 발생할 수 있고 확답을 할 수 없지만 서로가 행정적 기술적 사항에 대해 별다른 논쟁 없이 좁혀가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크게 쟁점이 되는 사항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