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남북이 9일 당국자 회담을 열고, 오는 12일 남북 장관급 회담 개최에 합의한 가운데 정치권이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특히 여야는 남북 장관급 회담을 통해 신뢰 회복은 물론 최대 현안인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등 남북화해 협력 사업의 재개 등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길 기대했다.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남북 장관급 회담이 오랜 만에 개최되는 만큼 실질적이고, 실효적인 회담이 돼야 한다”며 “약속을 위한 약속의 나열보다 남북 관계 진전과 현안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이어 “이번 만큼은 북한 당국이 남북간의 신뢰를 쌓아나갈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자세를 보여주길 기대한다”며 “우리 정부도 북한의 진정성 있는 소통을 유도하고 한반도가 처한 현실을 감안해 냉정하게 각종 현안에 접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특히 “이번에는 적어도 장관급이 나와야 의제를 협의하고 조율할 수 있다”며 “김양건 부장이 나와야 북측이 남북 장관급 회담에 의지가 있고, 현안에 대해 진정성 있는 자세를 갖고 있다고 보여질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실무협상이지만 2년4개월만에 재개된 남북 당국간 회담으로 의미가 크다”며 “양측의 신뢰를 쌓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이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우리가 갈 길은 너무 멀다”며 “금강산, 개성공단 등 당면한 남북화해협력사업의 재개도 서둘러야 하지만 인도적 교류와 지원사업도 최우선 해결과제로 삼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남북당국회담 재개와 미중정상회담을 계기로 6자회담 관련 당사국 모두가 9·19 성명의 합의정신으로 돌아가기 바란다”며 “동북아시아 다자간 포괄안보 방향이 담긴 9·19 성명을 되살리는 것이야 말로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를 구축하고 동북아시아 전체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고 주문했다.
한편 이날 남북은 판문점 우리측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 장관급 회담을 위한 실무접촉 수석대표 회의를 갖고, 12일 열기로 한 장관급 회담의 의제와 장소, 날짜, 대표단의 규모 등 세부적인 내용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