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수자원공사가 아라뱃길 관리대행을 위해 2011년 32억원을 출자해 만든 자회사 ㈜워터웨이플러스가 설립 초기부터 방만경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3월 기획재정부는 워터웨이플러스 설립을 허가하면서 조직?인력?보수체계가 방만하게 운영되지 않도록 엄격하게 관리 감독하라는 단서를 붙였지만, 현실은 정반대였다.
수자원공사가 민주당 문병호 의원(부평갑)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1.4월 설립된 워터웨이플러스는 1년도 되기 전에 정관을 고쳐 4대강사업 전체 시설물 관리․운영으로 사업내용을 확대했고, 자본금도 설립 당시 13억원에서 2012.6월 32억원으로 늘렸다.
당초 수공은 아라뱃길내 민간기관이 난립하면 통합관리가 안 된다는 이유로 워터웨이플러스 설립을 밀어부쳤다. 수공은 자회사 설립계획안에서 직접 운영하는 것에 비해 자회사가 인건비가 절감된다고 밝혔다. 2012년 84억원, 2013년 92억원, 2014년 100억원의 매출을 실현해 흑자와 배당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워터웨이플러스의 실제 매출액은 2011년 7억원, 2012년 59억원에 그쳤다. 2011년 8억800만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고, 2012년에는 3,700만원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하지만, 2012년 매출액을 보면 정부나 수공으로부터 받은 대행사업이 57억8100만원으로 대부분이고, 워터웨이플러스 직영사업 매출은 1억7,600만원에 불과했다. 정부나 수공이 워터웨이플러스를 먹여살리는 셈이다.
문 의원은 “경인운하와 4대강사업으로 10조원이 넘는 부채를 떠안고 있는 수공이 관련 시설물 관리를 핑계로 자회사를 설립해 예산낭비와 도덕적 해이를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하고, “정부는 워터웨이플러스를 조속히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해서 철저히 감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