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감찰에 적발돼 모텔에서 뛰어내리다 중상을 입었던 인천경찰청 산하 한 일선서의 한 간부와 여경에 대한 징계 여부가 초미에 관심사다.
과잉 감찰내지는 사찰로 지적되는 사안에 대해 과연 어떤 징계 조치가 취해질지에 대한 궁금증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이번 사건으로 인천경찰의 감찰 행태에 대한 논란도 커져 그 징계는 일선 모든 경찰관들에게 궁금한 사안이 되고 있다.
일선서 소속의 A경감과 한 여경은 지난 9월 12일 밤 10시 경기도 부천시 상동의 한 모텔에서 뒤따라온 감찰에 적발돼 징계를 앞두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일선에선 “개인 사찰에 따른 무리한 감찰로 인한 희생으로 보여 지며, 불륜 당사자들 보다는 감찰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주장하고 있다.
퇴근 후 밤 10시가 다된 상황에서 개인 사생활까지 사찰, 당사자들에게 부담을 줌으로서 중상을 당하게 된 게 아니냐는 것이다.
이미 인천경찰청의 감찰 행태는 수년전부터 논란과 비난의 대상이 돼온 게 사실이다.
이번 투신 외에도 감찰 대상자 자살, 제보자에 돈 주고 진술 받기 등의 불미스런 일은 물론 승진을 위한 동료 죽이기 아니냐는 지적 등의 논란을 빚어왔다.
지난 2009년 인천경찰청 청문감사관실의 한 직원은 한 경찰관의 금품수수 사건을 조사하면서 제보자에게 돈을 주고 진술을 받아내 물의를 빚었다.
당시 해당 경찰관은 감찰 조사를 받은 뒤 해임됐으나 소청을 통해 정직으로 징계가 감면돼 다시 복귀했다.
또, 앞선 지난 2008년에는 한 경찰관이 감찰에 적발, 해임된 후 스스로 목숨을 끊는 안타까운 일도 벌어졌다.
이때 이 경찰관은 “감찰의 유도 심문에 넘어가 해임됐다”고 호소했던 것으로 알려져 감찰의 책임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런데도 인천경찰의 감찰은 누구하나 책임을 지거나 아니면 그에 따르는 조치를 취하기는커녕 오히려 승진이 잘되는 부서로 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이 인천경찰의 감찰이 본연의 취지보다는 승진을 위한 동료 죽이기 식이나 사찰 수준에 가까운 감찰활동에 치중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적지 않다.
경찰청은 최근 고압·권위적인 감찰 행태의 개선은 물론 인적쇄신 등을 통해 공감 받는 감찰이 되기 위한 감찰활동 만족도 설문조사를 전 직원을 상대로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인천경찰의 감찰이 본연의 취지대로 개선되기를 일선 경찰관들은 진심으로 바라고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