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남동구의 동 복지위원회가 후원금을 반 강제적으로 모금하는 등 부작용을 유발시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일 열린 인천 남동구의회 제20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민주당 소속 박상준의원은 자유 발언을 통해 동 복지위 운영에 문제점이 있음을 제기했다.
이날 박의원은 “동 복지위를 너무 졸속으로 추진하다보니 효율적인 복지 인프라를 구축하지 못한 채 반강요적인 후원금 모금이라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관련 조례에는 사회 전반에 폭넓은 전문가를 위촉해 복지 대상을 발굴 지원토록 하고 있다”면서 “구성 목적대로 운영의 묘를 살려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현재 구는 동 복지위 지역자원개발 계획안을 마련, 월 2000계좌에 8000만원, 연 10억원의 목표액을 정해 각 동을 통해 모금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모금 방법에 대해 일부 반발 현상도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부 주민이 후원금 모금과 방법 등에 불만을 표시하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구월동에 사는 주민 A(55·여)씨는 “어느 날 동에서 회의가 있어 나가보니 탁자위에 약정서를 미리 깔아 놓은 것을 보고 당황했다”면서 “이렇게까지 해야 하느냐”고 난색을 표했다.
이어 그는 “기부는 스스로 마음에서 우러나서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처음부터 돈으로 하는 복지보다 몸과 마음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진짜 복지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동 회의 같은 공개적인 석상에서 약정서를 내밀면 같은 동네 사람들끼리 누구는 하고 누구는 안하고 하면 서로 관계도 서먹해 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제는 또 있다.
동별로 할당량을 정해 모금을 하다 보니 보이지 않는 실적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는 게 일부의 시각이다.
당연히 다른 동보다 뒤지지 않기 위해 경쟁을 벌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한 공무원은 “목표 달성을 위해 복지위원들에 독려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경쟁을 안했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모금을 강요했다면 벌써 목표액을 채웠을 것”이라면서 “동 복지위 활동은 나눔 문화 확산의 일환으로 지역의 문제를 지역에서부터 노력해보자는 취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