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e-biz

레노버, ‘테크월드 2021’ 개최…차세대 혁신 기술 및 제품 선보여

URL복사

 

[시사뉴스 홍은영 기자] 세계 1위 PC 및 스마트 디바이스 업체 레노버가 레노버 연례 기술 컨버런스 ‘테크월드 20201’을 개최하고 혁신 기술과 제품을 공개했다. 레노버는 노트북, 태블릿, 모니터, 엣지 컴퓨팅, 액세서리 등 폭넓은 신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일반 및 기업 고객의 보다 스마트한 업무 환경을 지원할 계획이다.

 

기술 및 제품 발표와 더불어 양 위안칭(Yuanqing Yang) 레노버 회장 겸 CEO는 기조연설에서 하이브리드 업무 솔루션, 정교한 인프라 서비스에 대한 수요, 인공지능(AI)의 전망과 영향력 등 최신 기술 트렌드를 소개했다. 

 

양 위안칭 레노버 회장 겸 CEO는 “스마트 기술이 선사하는 차세대 현실(next reality)을 마주한 지금 일반 고객과 기업 고객은 스마트 기술에 대해 각기 다른 니즈를 가지고 있다”며, “레노버는 차세대 현실을 지원하는 솔루션 제공에 중점을 두고, 고객과 세상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 혁신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업들이 빅데이터 분석 및 자동화 기술을 통해 비즈니스와 서비스에서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면서 엣지 AI 컴퓨팅 애플리케이션 분야는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씽크엣지 SE70(ThinkEdge SE70)’은 기업 고객이 물류, 운송, 유통, 의료, 제조,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AI 엣지 플랫폼이다. 씽크엣지 SE70은 AWS(아마존 웹 서비스)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엔비디아 젯슨 자비에 NX(Jetson Xavier NX)를 탑재하고 있다.

 

레노버가 새롭게 공개한 프리미엄 노트북은 넥스트 노멀 시대를 맞이해 빠르고 반응성이 뛰어난 컴퓨팅을 제공한다.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14인치 OLED 노트북 ‘요가 슬림 7 카본(Yoga Slim 7 Carbon)’과 16인치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울트라 슬림 노트북 ‘요가 슬림 7 프로(Yoga Slim 7 Pro)’은 강력한 차세대 윈도우 11을 탑재해 한층 편리한 경험을 제공한다. ‘아이디어패드 듀엣 5 크롬북(IdeaPad Duet 5 Chromebook)’은 투인원(2-in-1) 폼팩터로 디자인되어 이동 중에도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작업과 놀라운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한다.

 

‘레노버 탭 P12 프로(Tab P12 Pro)’는 프리미엄 멀티 경험을 지원하는 태블릿이다. 생동감 넘치는 아몰레드(AMOLED) 디스플레이와 몰입감 높은 사운드, 장시간 지속되는 배터리가 특징이다. 레노버 탭 P12 프로는 5G와 와이파이 모델 두 가지로 출시되며, 마그네틱 탈부착 기능이 있는 레노버 프리시전 펜 3(Precision Pen 3)와 분리형 키보드와 함께 사용 가능하다. 탭 12 프로와 함께 출시된 프로젝트 유니티(Project Unity) 애플리케이션은 무선으로 태블릿과 PC를 페어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레노버는 또한 스마트 페어링 기술을 통해 클릭 한 번으로 안드로이드 또는 윈도우 기기와 페어링할 수 있는 무선 이어폰 ‘스마트 와이어리스 이어버드(Smart Wireless Earbuds)’를 공개했다. 

 

전문가를 위한 새로운 프리미엄 모니터 ‘씽크비전 P27u-20(ThinkVision P27u-20)’는 디지털 영화협회(DCI)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9.1% 충족하고 어도비 RGB 색영역을 99.5% 표현하는 제품이다. 27인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멀티태스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썬더볼트 4 단자로 이미지, 비디오 등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게이밍 모니터 라인업에서는 ‘G27e-20 모니터(G27e-20 monitor)’. ‘G24e-20 모니터(G24e-20 Monitor)’가 새롭게 공개됐다. 두 제품 모두 합리적인 가격에 고성능 작업을 지원해 대학생, 게이머 및 전문가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AMD 프리싱크(FreeSync) 기술을 통해 매끄럽고 끊김 없이 게임과 영상을 즐길 수 있다.

 

신제품 발표 외에도 레노버는 향후 3년 동안 연구개발(R&D) 투자를 2배로 늘리는 한편, 친환경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기술 개발에 힘을 쓰겠다고 밝히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확대 계획을 밝혔다. 테크월드 행사 관련 자세한 사항은 레노버 글로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서상열 서울시의원, 긴급차량 길 터주기 시민 의식 제고에 앞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서상열 의원(국민의힘, 구로1)은 17일, 긴급차량 길 터주기 인식 제고를 위해 서울시가 관련 훈련과 홍보 등을 강화하는 '서울특별시 긴급차량 출동환경 조성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소방차, 구급차 등 긴급한 출동·조치를 위한 차량의 경우 골든타임 확보가 중요해 현행 법령으로도 통행 방법에 별도의 특례가 인정되어있지만 일반운전자들의 '길 터주기' 시민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행 조례는 긴급차량 출동환경 조성 및 관리를 위해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관계 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지만 긴급차량 출동 중 시민들의 양보 및 협조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실제로, 긴급차량의 사이렌소리를 듣고도 길을 비켜주지 않거나 구급차 뒤를 따라 붙어 얌체 운전을 하는 행태가 여전히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최근 국민 신문고에는 종합병원 근처에서 구급차의 진로를 방해한 택시의 처벌을 요청하는 민원이 올라오기도 했다. 또한, 지난 13일에는 국민권익위원회가 긴급차량 길막기에 대한 제재 강화 및 길터주기 홍보 강화 등의 내용이 담긴 '긴급자동차 도로 통행 원활화 방안'을

문화

더보기
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 ‘클래식 언박싱 시즌 2’ 공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산하 국립청년예술단 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이하 KNCO, 지휘자 김유원)가 클래식 입문자를 위한 콘서트 ‘클래식 언박싱 시즌 2: 왓츠 인 마이 오케스트라’를 오는 11월 2일(일) 오후 5시 세종예술의전당에서 선보인다. ‘클래식 언박싱’은 클래식 음악에 입문하는 관객들이 익숙한 멜로디를 통해 각 음악의 즐거움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된 공연이다. 지난 시즌 1에서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큰 호응을 얻은 데 이어 이번 공연은 보다 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새롭게 꾸며졌다. 프로그램은 주페의 오페레타 ‘경기병’ 서곡을 시작으로 헨델 ‘사계’ 중 ‘봄’ 1악장, 몬티 ‘차르다시’, 그리그 ‘페르 귄트’ 모음곡, 드보르자크 교향곡 제9번 4악장 등 익숙하지만 이름은 생소한 명곡들로 구성된다. 또한 앤더슨 ‘타자기 협주곡’, 필모어 ‘라수스 트롬본’ 등 평소 접하기 어려운 클래식 악기의 협연 무대도 마련돼 다양한 악기의 개성과 음색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이 될 전망이다. 여기에 콘서트가이드 나웅준이 함께해 각 곡의 배경과 이미지를 해설하며 클래식 감상의 몰입을 더한다. 지휘는 김유원이 맡는다. 그는 2022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