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정부가 전국 사회적 거리 두기 수준을 2단계에서 1단계로 하향 조정하되 수도권 교회에 대해선 대면 예배는 참석 인원을 예배실 좌석 30% 안으로 제한하기로 했다. 감염 위험이 높은 모임이나 행사, 식사 금지는 유지된다.
수도권 이외 다른 시도에서는 지역 상황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재량에 맡기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1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로부터 이런 내용의 '사회적 거리 두기 조정 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했다.
중대본은 9월28일부터 이날까지 진행된 추석 특별방역 기간 이후 전국의 사회적 거리 두기 수준을 2단계에서 1단계로 하향 조정하되 감염 확산 진정세가 다른 지역에 비해 더딘 수도권은 2단계 조치 일부를 유지한다. 고위험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해선 방문판매 등 직접판매홍보관 집합금지 유지 등 정밀 방역 조치를 적용한다.
교회에 대해서도 방역 조치를 완화하되 수도권 지역 교회에 대해선 1단계보다 강화된 조치에 나선다.
8월31일 수도권에 강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를 적용하면서 비대면 예배로 전환했던 수도권 교회들은 이미 8월19일 0시부터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대면 예배와 대면 모임 행사, 단체 식사 등이 금지된 상태였다.
강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종료 이후 정부와 교계는 협의체를 통해 예배실 좌석수 300석을 기준으로 300석 이상일 때는 영상 제작 등 비대면 예배 참여 인력 50명 미만, 300석 미만일 때는 20명 이내로 현장 예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대면 예배 조치를 일부 완화했다.
이어 이번 1단계 조정 이후에는 예배실 좌석 수의 30% 이내로 대면 예배를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12일부턴 300석 기준으로 90명까지 현장 예배에 참석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추후 교계와 협의체를 통해 이용 가능 인원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만 소모임과 행사, 식사 등 집단감염이 반복됐던 행위에 대해선 계속 금지하기로 했다.
수도권 이외 지역에선 지자체별로 지역 상황에 따라 대면 예배 인원 제한이나 소모임 및 식사 금지 등을 시행할 수 있게 했다.
대신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준인 사회적 거리 두기 1단계에서도 마스크 착용, 출입자 명부 관리, 거리 두기 등 기본적인 수칙은 권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