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서울 16개구 아파트 매매가격이 입주 5년 이하 새 아파트 전세가격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7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서울 지역 입주 5년 이하 아파트의 전세가격은 3.3㎡ 당 1791만원으로 서울 평균 매매가격 1886만원과 큰 격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입주 시기 별로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을 비교하면 입주 후 10년이 초과된 아파트는 3.3㎡ 당 1811만 원으로 새 아파트 전세가격과 비슷한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즉, 5년 이하 아파트 전세가격이면 10년 초과 아파트는 충분히 매입 가능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서울 25개 구 중 16개 구의 평균 매매가격은 △중구(1775만원) △영등포구(1681만원) △종로구(1642만원) △동작구(1642만원) △강서구(1474만원) △서대문구(1410만원) △동대문구(1344만원) 등으로 나타나 새 아파트의 전세가격보다 낮았다.
실제로 새 아파트 전세가격으로 같은 지역 내 노후 아파트의 매매가 가능하다.
3분기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현황에 따르면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서 전용면적 84㎡ 전세를 구할 경우 2014년 입주한 '마곡엠밸리 15단지'는 4억원(5층)이 필요하다. 하지만 강서구 가양동에서 1999년 입주한 '한보아파트' 매매가격은 3억9000만원(5층)이다. 오히려 1000만원을 남기고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
노원구 중계동에서 2014년 입주한 '한화꿈에그린 the first' 전용면적 59㎡의 전세가격은 3억4000만원(13층)이다. 반면 1999년 입주한 '삼성아파트' 전용면적 59㎡의 매매가격은 2억8300만원(17층)이다. 5700만원을 아끼고도 내 집에서 살 수 있다.
강동구 성내동에서도 동일면적 기준으로 새 아파트 전세에서 헌 아파트 매매로 갈아타면 투입 비용을 아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재건축 기대감으로 노후아파트 매매가격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도 있었다. 하지만 5층 이하 저층아파트가 대부분 재건축된 이후 10층 이상의 중층아파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가상각이 매매가격에도 반영되는 분위기다.
현재처럼 사상최저수준의 금리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전세물건 공급이 부족하고, 감가상각 요인까지 아파트의 매매가격에 반영된다면 새 아파트 전세가격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결국 '새 아파트 전세거주'는 개개인의 선택에 의한 결과일 뿐 과거처럼 집 없는 설움의 대상으로 해석되기 어렵다"며 "거주 안정성에서 장점이 큰 '내 집 마련'이 새 아파트 전세거주자에게 선택지 중 하나로 다가온 상황을 바로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기존주택을 매입하는 대신 새 아파트 전세 거주를 선택하는 이유는 거주 편의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최신 기술과 시스템 적용으로 관리비용 절감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며 "새 아파트는 같은 면적이라도 베란다 확장과 수납공간의 다양화로 인해 공간활용도가 높다는 특징도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국내외 경제 상황으로 인해 미래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은 점도 매매 보다는 새 아파트 전세를 선호하게 된 주요 이유 중 하나로 판단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