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기존에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던 서울 구로·신도림역세권 재정비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서울시는 구로구 구로동 602-5번지와 신도림동 642번지 일대 면적 107만1585㎡의 '구로역 및 신도림역세권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결정안'이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통과됐다고 29일 밝혔다.
이 일대는 지난 2000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한 뒤 지난 2008년 재정비를 거친 곳이다. 이번에는 이에 이어 두번째 재정비다.
서울시는 이번 재정비 계획안에 서남권 생활권 계획 중 구로지구를 중심으로 조정했다. 특히 주변 준공업지역 개발계획과 주변지역 개발여건 변화에 따라 기존 지구단위계획 문제점을 분석해 반영했다. 구로역 주변 준공업지역과 노후 건축물이 밀집된 주거지역의 개발이 실현될 수 있도록 주민의견과 현실여건 등도 고려했다.
다만 이번 결정 내용에 지구단위계획 구역 내 인근 준공업지역과 지역적으로 특성이 다른 구로동 496-16번지 일대 저층 주거지역을 지구단위구역에서 제외했다.
저개발 준공업지역과 주거지역 9곳의 사업추진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현황과 토지소유관계, 주민의견 등을 고려해 획지계획을 조정하고 획지분할 가능성도 계획했다.
또한 지난 2008년 신설한 오랫동안 사업이 시행되지 않고 있는 구로역앞 사거리 특별계획구역은 개발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특별계획가능구역으로 전환했다. 준공업지역에 맞는 산업·업무기능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지식산업센터 등 산업용도를 권장용도로 계획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재정비 게획을 통해 개발이 더딘 지역의 정비가 촉진되고 구로지구중심을 포함해 구로역 주변이 활성화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