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정부가 직장여성아파트를 재건축해 늘어나는 세대수 만큼 대학생·사회초년생·신혼부부 등 행복주택 입주대상자에게 배정하기로 했다.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근로복지공단,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직장여성아파트를 행복주택으로 재건축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현재 서울, 인천, 부천, 춘천, 대구, 부산 등 6개 지역에 직장여성아파트는 820세대가 있다. 이를 행복주택으로 재건축할 경우 1610세대로 증가하게 된다.
근로복지공단과 LH는 협약에 따라 올해 말까지 행복주택 사업승인을 추진한다. 동시에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직장여성들의 임대기간 보장 및 주거안정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직장여성아파트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지어져 35세 이하 저소득 무주택 여성근로자에게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됐다. 하지만 최근 건물 노후화로 인한 관리 어려움과 일부 공실 발생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국토부와 LH는 도심 내 국·공유지 등을 활용해 2017년까지 행복주택 15만호를 공급할 계획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행복주택은 지난해 10월 송파 삼전지구 첫 입주를 시작으로 올해에도 1만호 입주자 모집을 진행 중이다. 상반기에 공급한 서울가좌지구의 경우 경쟁률이 최고 48대1을 기록했다.
하동수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이번 사업은 도심 내 노후 임대아파트를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주거환경 개선과 행복주택 공급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면서 "앞으로 도심부에 행복주택을 더 많이 건설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지원 고용부 근로기준정책관은 "저소득여성근로자 복지증진을 위한 직장여성아파트 사업취지를 살리면서 노후한 아파트 안전성 확보와 쾌적한 주거환경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