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구글의 한국 지도 데이터 반출 여부 결정이 60일 더 연기됐다.
24일 국토교통부 소속 국토지리정보원은 구글의 지도 국외반출 신청에 대해 "추가적인 심의를 거쳐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근무일 기준 60일이 연장된 것이다.
지난 6월1일 접수된 구글사의 지도 국외반출 신청 민원은 당초 25일까지 결론을 내릴 계획이었다.
그러나 기한을 60일 연장하면서 최종 결정 마감 시한이 11월23일로 연기됐다.
최병남 국토지리정보원장은 회의 직후 기자들에게 "오늘 협의체에서 지도정보 반출 시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국내 공간정보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며 "구글 입장과 안보 등 여러 가지 사항에 대한 추가 협의를 거쳐 신중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어 기한을 연장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구글 역시 한국 정부 의견을 듣고 자사 입장을 피력하겠다고 제안했다"며 "구글의 입장을 들은 뒤 향후 3차 협의체 회의를 개최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재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구글은 이날 결정과 관련, 한국 정부를 설득해 지도반출 승인을 받아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구글 관계자는 "구글은 한국과 전세계 사용자들에게 더 좋은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며 "앞으로도 한국 정부의 궁금증에 성심껏 설명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국내 반대여론이 거세고 미국이 통상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마찰을 피하기 위한 선택으로 보고 있다.
앞서 구글은 지난 6월1일 국토지리정보원에 5000분의 1 비율의 초정밀지도 데이터 반출을 승인해 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미 2007년부터 10차례에 걸쳐 지도 반출을 요구했지만 공식적으로 요청한 것은 이 때가 처음이다.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킨 증강현실(AR) 게임 '포켓몬 고(Go)'를 계기로 논란이 재점화된 이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