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경기권에서 화성, 김포, 시흥 등이 아파트 공급과잉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선정됐다.
10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2016~2018년 아파트 입주 물량과 지난달 기준 시군별 주민등록 가구 수를 비교한 결과 경기도 전체 평균 입주량은 2.1%로 조사됐다. 100가구 당 연간 입주물량이 2.1가구라는 의미다.
시군별로 보면 올해 입주물량이 가장 많은 곳은 미사강변도시가 포함된 하남(9.8%)으로 조사됐다. 다만 미사강변도시는 송파구, 강동구 등에서 외부수요가 유입돼 입주물량을 소화하고 있다.
2위는 동탄2신도시 입주물량이 쏟아지고 있는 화성(6.9%)이 차지했다. 이어 한강신도시 입주물량이 많은 김포(5.2%)가 3위에 올랐다.
4위는 2017~2018년 목감지구, 은계지구, 배곧신도시에서 입주물량이 많은 시흥시(4.5%)가 차지했다.
이어 광주(4.0%) 평택(3.7%), 안성(3.6%) 오산(2.9%) 구리(2.8%) 용인(2.6%)이 경기 평균 입주량을 웃돌았다.
이들 지역 중 서울 출퇴근이 쉽지 않은 화성, 평택, 김포, 시흥, 안성, 오산 등은 외부수요가 적고 내부수요가 많지 않아 공급과잉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또한 내년 이후 국지적인 역전세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화성(9274→2만7753), 김포(2954→8680), 시흥(1818→1만242), 용인(1881→1만9801)은 입주물량이 2016년에 비해 2018년에 급증하는 지역으로 입주물량 누적에 따른 공급과잉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2016~2018년 입주물량과 주민등록 가구 수를 기초로 한 단순분석이지만 수도권 외곽의 경우 대부분 2016년보다 2017년이, 2017년보다는 2018년에 입주물량이 급증해 공급과잉은 물론 역전세난이 우려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