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유한태 기자]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9일 20대 국회 국회의장직과 법제사법위원장직을 야당이 모두 맡아야 한다는 견해를 밝혀 여당 측 반발이 예상된다.
우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국회의장 문제는 여소야대를 만들어준 민심이 원 구성에 반영돼야 되기 때문에 야당 쪽에서 맡는 게 맞지 않는가 생각하고 있다"며 "야당 쪽에서 맡는다면 아무래도 제1당이 국회의장을 맡는 게 순리가 아닌가 이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법사위원장 자리와 관련해선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서 "법사위원장을 야당이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지난 19대 국회에서 정부 여당이 법안을 워낙 거세게 밀어붙였기 때문에 안전판을 만들려고 했던 것"이라며 "아직 집권당이 새누리당이고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 운영 방식을 변화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보고 있으면 법사위원장은 야당이 가져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통상 국회의장 직은 집권 여당이 가져가는 대신 법사위원장은 야당이 맡는 것이 관례였다. 법안 처리에 있어서 모든 상임위에서 통과된 법은 법사위를 거쳐 본회의에 상정된다. 따라서 견제와 균형 측면에서 여야가 국회의장과 법사위원장을 나눠 가져온 것이다
하지만 우 원내대표의 이같은 제안은 그간의 관행과 다른 것이어서 당장 새누리당의 반발을 부르고 있다. 새누리당에서는 "국회의장과 법사위를 야당이 가져간다는 것은 야권이 사실상 1당 독재를 한다는 것"이라며 "우 원내대표가 되지도 않는 억지를 부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정치권에서는 우 원내대표가 원구성을 앞두고 대여(對與)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선공 차원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우 원내대표는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분할에 관해선 "상임위원장 수를 늘리려고 한 것이 아니라 비효율적인 상임위를 효율적으로 만든다는 관점에서 제기한 것이다. 가능한 한 상임위 수를 늘리지 않고 조정을 해보겠지만 불가피할 경우에는 1군데 정도 늘릴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고민을 하고 있다"며 "(환경노동위원회 등을 분할해) 다른 상임위까지 늘리는 건 국민의 부담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견해를 밝혔다.
이 밖에 우 원내대표는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 비서관의 역할과 관련해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서 "조응천 당선인이 알고 있는 것을 갖고 중간 중간에 갑자기 국민들 깜짝 놀라게 하겠다고 협박을 하려고 한 것은 아니다. 내가 그런 사람도 아니다"라며 "국정 운영 방식을 조금 바꾸라고 하는 것을 촉구하려고 그런 말씀을 드린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