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세권 기자]새누리당 친박계 맏형 서청원 의원이 26일 비박계의 '친박 2선 후퇴론'에 동조하는 발언을 해, 차기 원내대표, 당권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친박계를 더욱 궁지로 몰고 있다.
서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선인 워크숍'에 참석, "이 시점에 맞는 우리당 인재가 나서 야당과 대화와 타협을 통해 상생하는 그런 인물로 앞으로 원내대표와 당 대표를 채울 때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친박 2선 후퇴론에 힘을 싣는 듯한 발언을 했다.
서 의원은 또 "일부 신문에서 의장 이야기 나오는데, 야당이 우리에게 안 준다. 다 접어야 한다"며 자신도 차기 국회의장에 미련을 버리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나도 훌훌 털어내겠다"며 "나도 욕심없다. 대권 꿈도 없다"고 거듭 마음을 비웠음을 강조했다. 이처럼 친박계는 현재 당 안팎으로 총선 참패의 원흉으로 몰리며 뭇매를 맞고있다.
당장 원내대표 선거만 하더라도 친박계 중진 홍문종 유기준 의원 두 사람이 나서려고 하지만 친박계 내부에서조차 조직적인 지지를 받지못하고 사그라드는 양상이다.
친박계 실질적인 좌장 역할을 하고 있는 최경환 의원은 연일 침묵 모드를 이어가며 원내대표 경선에 엄중 중립을 유지하고 있다. 행여 원내대표에 개입하려는 정황이 드러날 경우, 당내 잠복해있던 친박계에 대한 불만과 원성이 일순간에 폭발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친박계 핵심 인사는 "최 의원 뿐만 아니라 청와대도 당분간 섣불리 당내 상황에 개입하기 힘들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비박계가 당을 수습하는 '실력'을 보여주지 못할 경우 다시 권력의 추는 청와대와 친박계로 향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지금은 시간을 흘려보내며 기다리는 방법 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