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유한태 기자]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25일 4·13 총선에서 전패한 광주를 찾아 변화를 다짐했다. 제1야당의 위치에도 자만 않고 정권교체를 향한 길을 걷겠다고 약속, 돌아선 호남민심을 잡기 위해 노력했다.
김 대표는 이날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를 시작으로, 출마자·자치단체장과의 오찬, 광주 시·구의원 간담회, 광주언론인 간담회, 광주과학기술원 등을 방문하며 호남민심에 귀 기울였다.
이날 광주 방문에는 이종걸·진영·양승조·정성호·김현미·이개호·이춘석 등 2기 비대위원이 함께했다. 정세균·김부겸·전현희 당선인도 광주 일정을 소화했다.
김 대표는 먼저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했다. 방명록에는 '희망의 수권정당이 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희생영령을 향한 경례 때는 90도로 허리를 숙여 예를 갖췄다.
김 대표는 참배 뒤 기자와 만나 "총선 결과 8석을 다 잃어버렸기 때문에 그 과정을 면밀하게 들어봐야겠고, 앞으로 광주에서 더민주의 기반을 다시 닦기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시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려고 왔다"고 광주 방문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수권정당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이번 총선 결과 원내 1당이 됐으니 일단 수권정당으로 갈 수 있는 터전을 닦았다고 본다"며 "그 다음 내년 대선까지 다음 지도부들이 어떻게 하느냐 하는 것은 다음 지도부의 몫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차기 지도체제를 둘러싼 당내 갈등 상황에서 수권정당의 책임을 차기 지도부에 맡기려는 듯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김 대표는 이후 광주 출마자·자치단체장과의 오찬 간담회에 참석했고, 시·구 의원들과의 간담회도 가졌다. 시·구 의원들의 간담회에서는 일부 시의원들이 "형식적인 간담회는 참석하지 않겠다"며 불참하는 등 지도부에 대한 반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김 대표는 광주지역 기자간담회에서 '정치 구조조정'을 강조하며 환골탈태의 변화를 촉구했다. 당을 향한 자성의 목소리였다. 아울러 당내 계파싸움에 대한 경고메시지도 보냈다.
김 대표는 "몇 번의 호남 방문과 사과로 호남 민심이 다시 우리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생각치 않는다"며 더민주가 정권교체를 위해 무섭게 변하고 있다는 걸 진심으로 보여줘야 호남의 마음과 함께 다시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더이상 계파싸움하지 않고 공허한 관념의 정체성에 흔들리지 않아야 수권정당, 대안정당이 될 수 있고 그래야 정권교체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가 철저히 수권정당으로 변하지 않고, 계파를 넘어 단결하지 않으면 호남민심이 돌아올 수 없다는 두려움도 느낀다"며 "호남민심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비상상황은 계속된다"고 계파싸움에 대해 경고했다.
그러면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정당은 국민에 의해 퇴출당할 수밖에 없다. 경제에만 구조조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정치에도 구조조정이 있다"며 "더민주의 변화를 회피하고 현실에 안주하려는 것은 정권교체를 방해하는 이적행위"라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문재인 전 대표에 대한 불편한 심경도 감추지 않았다. 그는 "사후에 말을 만들어서 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맞지 않다"며 "문재인 전 대표와 단 둘이 보는 일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는 친문을 겨냥, "일부 사람들이 말을 자꾸 이상한 형태로 만들어내는데 정상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당에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고 쏴붙였다.
그러면서 "선거가 끝나고 여유를 찾는다고 생각해 또다시 계파에 의한 투쟁이 벌어질 것 같으면 (더민주에) 더이상 희망이 없다"고 경고했다.
김 대표의 발언은 지난 22일 문재인 전 대표와 가진 만찬에서 '대표 추대론'을 놓고 정면 충돌한 후 공식 석상에서 나온 첫 발언으로, 사실상 문 전 대표와 친노계에 대한 대한 경고로 해석된다.
김 대표는 문재인 전 대표와 대표 추대를 놓고 갈등이 표출된 것과 관련, "나는 문 전 대표와 대립각을 세울 이유가 없는 사람"이라며 "내가 더민주에 올 때 다른 것이 아니라 수권정당이 될 수 있도록 채비를 갖춰주는 역할을 하러 온다고 말했고,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없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또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전당대회 연기론에 대해 "내가 관여할 일이 아니다"라며 "내가 대표에 미련을 갖는 사람도 아니고, 진작에 대표에 뜻이 없다고 이야기했는데 그것을 가지고 자꾸 이러쿵저러쿵 하면 도움이 안 된다"고 발을 뺐다.
김 대표는 광주과학기술원 방문을 끝으로 일정을 마무리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총선 공약이었던 삼성자동차 전기장치사업 핵심사업부의 광주유치 타진에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대표는 "우리당은 과학기술원에 광주 전장산업유치센터를 설치해 삼성 미래차의 광주 전장산업 유치의 거점을 마련하고자 한다"며 "여야정을 넘나드는 초당적인 협력과 예산 지원 이끌어 내 광주를 미래차 산업 메카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