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유한태 기자]'김종인 합의 추대론' 논의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당내 일각에서는 이번 총선의 승리를 가져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김종인 대표에게 계속 지휘봉을 맡기는 것이 내년 대선 정국에서 보다 유리할 것이란 논리를 대고 있다. 김 대표도 이같은 흐름에 대해 합의 추대가 이뤄진다면 대표직을 수용할 수 있다는 뜻을 시사해 파장이 커졌다.
실제 더민주에서는 20대 총선 직후부터 신진세력인 김종인계를 중심으로 합의추대론이 흘러나왔다. 여기에 더해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는 17일 언론 인터뷰에서 합의 추대 수용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건 그때 가서 생각해 볼 문제"라며 수용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김 대표가 추대를 통한 당 대표직에 대한 의지를 나타낸 것이란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김 대표로서는 자신이 총선을 진두지휘해 무너져가는 더민주를 원내1당으로 끌어올린만큼 당 대표로 나서 당을 이끌겠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경우 자신의 대선출마는 어려워진다.
하지만 합의 추대론에 대해 반대 의견이 만만치 않다. 당의 뿌리를 둔 주류세력이 여전히 김종인 대표에게 마음을 주지 않고 있다. 특히 공천에서 탈락한 정청래 의원과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이해찬 의원의 경우 김 대표에 대한 반감이 여간 거센 게 아니다.
당 주류인 정청래 의원은 김 대표에 대한 '합의추대론' 논의가 수면 위로 올라온 지난 17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물은 셀프입니다'라는 말은 많이 봤지만 셀프공천에 이어 셀프대표는 처음 들어보는 북한식 용어"라고 날을 세웠다.
정 의원은 "욕심은 더 큰 욕심을 부르고 더 큰 욕심은 화를 부른다"며 "합의추대? 그것은 100% 불가능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 의원은 선거 기간에는 김 대표를 겨냥해 "계산은 선거가 끝난 뒤에 해도 된다"라는 말로 김 대표 독주체제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낸 바도 있다.
주류의 이같은 흐름에 대해 비주류들도 생각이 제각각이다. 비주류는 친노가 당 대표직을 맡는 것은 안 된다고 보면서도, 대안이 꼭 김종인 대표의 합의추대일 필요는 없다는 분위기다.
박영선 비대위원은 18일 김종인 대표의 당 대표 추대 가능성에 대해 "후보군 중 한 명"이라고 일축했다.
박 위원은 "(당 대표) 후보군이 몇 명 더 될 수 있다"며 "여론수렴이 조금 필요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에서 자신에게 대표직을 요청할 경우 생각해보겠느냐는 질문에는 "고민해볼 필요는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정성호 비대위원 역시 당 대표 합의추대론에 대해 "민주적인 정당에서 가능할 것인지 상당히 의문"이라고 부정적 견해를 나타냈다. 비주류가 똘똘 뭉쳐도 김 대표의 합의추대가 쉽지 않은 상황인데, 이같이 저마다 계산법이 달라 김 대표의 당권을 향한 길이 멀게만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