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임홍순 기자]세월호참사 2주기인 16일 경기 안산에서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진상규명을 함께하겠다는 의지가 모였다. 4·16가족협의회가 16일 오전 안산시 화랑유원지 정부합동분향소 앞에서 개최한 '세월호참사 2년 기억식'에는 유가족, 학생, 시민, 정치인 등 3000여명이 운집했다. 오전 10시 정각 추모싸이렌이 1분 동안 울리자 분향소 앞에 모였던 참가자들은 일제히 자리에서 일어나 희생자들을 애도하는 묵념을 진행했다. 곧이어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 참가자들의 발언이 시작됐다.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위원장은 “304명의 희생자와 미수습자를 기억하기 위해 함께해준 여러분께 고맙다”며 “아직도 세월호냐고 묻는 분들이 있는데, 우리도 그날을 벗어나고 싶다. 왜 그랬는지, 아이들이 왜 죽었는지 밝혀내고 책임질 사람들이 책임지면 우리도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의 진상조사는 매번 방해를 받고 지금은 강제로 조기 중단될 상황에 처했다. 대통령과 19대 국회가 약속한 특별검사제도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며“정치인들에게 호소한다. 부디 진상조사가 조기에 중단되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게 막아달라”고 요구했다.
전 위원장은“고마운 국민 여러분, 진상 밝혀질 때까지 노란리본을 달고 함께해주기 바란다”며 “304명의 생명이 5000만명 국민의 생명·안전과 똑같다는 것을 잊지 않고 함께하겠다. 아이들이 희생됐지만 이 아이들의 희생으로, 국민들의 힘으로 안전한 사회를 만들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고 박예슬(참사 당시 단원고2)양의 동생 예진(고2)양은 언니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을 편지로 낭독하고 진상규명의 의지를 밝혔다.
예진양은 “눈을 가린 정부를 향해 말한다. 우리는 그동안 진상규명과 단원고 교실존치를 위해 싸웠다. 앞으로도 싸울 것”이라며 “단순히 왜 죽었는지가 아니다. (싸움의 방향은) 참사의 진실을 감추고 있는 정부를 향해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족들의 죽음에 물음표가 달려 있는데, 무엇 때문에 숨겨왔나. 이번 일을 겪으며 정치인들의 무능함을 알았다. 앞으로 우리는 어른들과는 다른 세상을 만들 것”이라며 “우리는 세월호에서 언니, 오빠들이 고통에 허우적댈 때 분향소를 찾아 진실을 밝히겠다고 했던 박근혜 대통령을 기억한다”고 전했다.
예진양은 “어찌해 (대통령이) 우리에게 등을 돌린 적이 됐을까. 언니, 오빠를 만나는 날 진실을 밝히지 못해 죄스러운 말을 남기지 않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
제종길 안산시장, 이재정 경기도교육감도 기억식에 참석해 진상규명과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힘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이준식 사회부총리는 참사를 잊지 않고,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참가자들은 안산시립합창단의 노래와 성우 김상현 씨의 기억시 낭송, 가수 조관우씨의 추모곡, 416가족합창단의 노래를 들으며 잊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마지막 순서에는 학생, 학부모, 시민단체 관계자, 종교인 등 12명이 '안산시민 공동선언문'을 낭독했다.
이들은 선언문을 통해 “304명을 구하지 않은 정부, 피해자에게 상처를 준 정치인, 안전사회를 만들겠다는 대통령의 약속 등 10개를 기억하겠다”며 “세월호 선체 인양과 조사, 철저한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개정, 대통령이 안전사회 기틀을 만들 것 등 10개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행사 참가자들은 1시간30분가량 동안 진행된 기억식이 끝난 뒤 분향소로 이동해 희생자들의 영정사진 앞에 헌화하고 분향하며 추모의 마음을 전했다.
한편 4·16가족협의회, 시민단체 등은 이날 오후 4·16걷기대회, 추모문화제 등을 열고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