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유한태 기자]4·13 총선을 1주일 앞둔 6일 더불어민주당이 심장부 광주에서 8-0, 전패 위기에 몰리고 있다. 이에 따라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는 이날 국회 당 대표실에서 '광주경제 살리기' 특별 기자회견을 갖고 “광주를 미래형 자동차 생산의 산실로 만들겠다”며 삼성의 미래차 산업을 광주에 유치해 5년 간 2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김 대표는 “광주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삼성 미래차 산업 광주 유치'를 중앙당 차원의 공약으로 승격하고 총력 지원하겠다”며“국가균형발전 특별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투자촉진을 위한 정부 보조금 확대, 민간투자유치를 위한 각종 세제지원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시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광주는 기아차 공장에서 연간 62만대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 생산기반 최적합지”라며“삼성 전장산업 핵심사업부를 광주에 유치하면 5년간 2만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 5일 지역 방송사의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내 접전 지역이 3~4곳이었지만, 이날 지역 신문사 여론조사에서는 접전 지역으로 분류된 지역조차 모두 국민의당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지역 정가에 따르면 전날 복수의 지역방송 여론조사에서 광주는 국민의당 후보가 더민주 후보를 7대 1로 앞서고 있고 광주 광산을, 서구갑, 북구을에서 오차범위내 접전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무등일보가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3곳의 접전지역 모두 국민의당이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광산을은 국민의당 권은희 국민의당 후보가 44.1%를 지지를 얻어 이용섭 더민주 후보(35.2%)를 8.9%포인트 차로 앞섰다.
서구갑은 국민의당 송기석 후보가 47.0%를 얻어 34.6%의 더민주 송갑석 후보를 12.4%포인트, 북구을은 최경환 국민의당 후보가 49.9%를 얻어 33.1%의 이형석 더민주 후보보다 16.8%포인트 각각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대해 더민주 후보들은 신뢰도에 의문이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더민주 한 후보측은 “전날 두 방송사와 여론조사와 무등일보 여론조사가 비슷한 시기에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차이가 많이 난다”면서 “광산을의 경우 권 후보가 이 후보를 여론조사에서 단 한 번도 이긴적이 없는데, 갑작스럽게 오차범위를 벗어난 8.9%까지 앞선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다른 후보측은 “백데이터를 본 결과 세대별, 남녀 비율이 특정 세대나 성별에 치우쳐 있었다”면서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더민주 해당 후보들은 여론조사기관에 대해 법률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같은 반발기류와 함께, 텃밭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더민주는 전세를 뒤집기에 안감힘을 쓰고 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광주경제살리기 특별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당의 새롭고 실력 있는 광주 후보 8명이 광주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에 모든 것을 걸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중앙당 차원에서 광주를 위한 공약을 제시, 고전을 면치 못하는 광주 선거의 분위기를 뒤집기 위한 포으로 분석된다.
문재인 전 대표의 광주 방문도 카드로 떠오르고 있지만, ‘반문(반 문재인) 정서’로 인해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무등일보 여론조사는 지난 3~5일 여론조사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동남을 유권자 515명, 서구갑 715명, 북구을 514명, 광산을 70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7%p(서구갑, 광산을), ±4.3%p(동남을,북구을)이며 응답률은 동남을 5.1%, 서구갑 2.3%, 북구을 2.1%. 광산을 1.6%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nes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더불어민주당이 광주 미래차 산업 유치를 공약한 것과 관련해 “구체적 추진방안과 투자계획은 아직 검토한 바 없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날 “각 정당의 공약사항에 대해 개별기업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면서“전장사업은 이제 사업성 여부를 모색하는 단계”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