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유한태 기자]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야권 텃밭인 호남지역 쟁탈전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는 가운데 양 당의 프레임 전쟁도 본격화되고 있다.
28일 지역정가에 따르면 후보등록 마감과 함께 본격적인 총선전이 시작되면서 양당의 선거구도 전략도 본격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광주서구을에 출마한 더민주 양향자 후보는 전날 국민의당 천정배 후보에게 정치공세를 시작했다.
양 후보는 "호남정치 복원을 약속했지만, 파당을 만들었다. 야권연대를 호언했지만, 국민의당은 수도권에서 변변히 힘도 못쓰고 `호남자민련'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며 천 후보의 입장을 물었다.
천 후보의 답변은 없었다. 다만, `호남 자민련 전락'은 더민주가 유권자들에게 호소하는 선거 프레임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수도권 야권연대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전국적으로 제 1야당이 될 정당을 호남에서 밀어줘야 한다는 주장속에서, 호남 이외 지역에서 의석 확보 가능성이 높지 않은 국민의당이 호남 다수당이되면 `호남 자민련'으로 전락한다는 논리다.
더민주는 "호남정치복원이 아닌 지역의 고립을 자초하는 호남 자민련은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대해 국민의당은 과거 제 1야당을 지원해 줬지만, 호남이 얻은 것이 없다면서 호남민을 대변할 수 있는 새로운 야당을 찍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맞서고 있다.
더민주가 주도하는 야당정치를 전면 재편해야 정권교체도 가능해지고,호남의 실리도 확보할 수 있다는 논리다.
이와맞물려 국민의당은 `반(反)문재인, 친노패권 반대 정서'로 표심을 자극하고 있다.
일부 후보들은 문 전 대표가 사퇴하고 김종인 체제로 총선을 치르고 있지만, 문 전 대표가 더민주를 모두 뒤에서 조정하고 있다는 정치 공세와 함께, `더민주를 찍어주면 문 전 대표를 비롯해 친노패권이 부활한다'는 논리도 내놓고 있다.
더민주는 또 `경제심판론' 프레임으로 선거에 나서고 있다.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는 본격적인 총선전의 첫 방문지로 광주·전남지역을 선택하고 경제콘서트와 함께,경제살리기 광주전남 국회의원 후보자 연석회의’에 참석해 ‘경제살리기 선언문’을 낭독했다.
김 대표는 "문제는 경제이기에 20대 총선은 경제선거"라면서 "박근혜 정권이 저지른 경제정책의 실패를 국민이 심판해 독선적이고 오만한 정권의 독주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과 주장했다.
이에 국민의당은 "경제보다 더 문제가 정치"라며 “반목과 대립으로 점철된 양당체계 가지고 과연 경제를 개선할 수 있겠는가.3당 체제 구축이 먼저"고 맞서고 있다.
양 당의 프레임 경쟁에 대해 지역 유권자들은 어느 당의 손을 들어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당이냐 인물이냐를 놓고 고민하는 유권자들에게 선거구도 전략은 표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면서 "양 당의 호소에 대해 부동층이 어떻게 화답하느냐에 따라 선거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