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세권 기자]새누리당 친박핵심 윤상현 의원의 ‘김무성 욕설 녹취록’ 파장이 커지고 있다.
친박계와 비박계는 9일 '윤 의원의 정계은퇴' '정치공작' 등 엇갈리는 주장 속에 장외공방을 벌이며 맞서고 있고, 김무성 대표는 직접 사과하기 위해 찾아온 윤상현 의원을 문전박대 하면서 향후 상당한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공천관리위원회의 독립성을 침해하는 듯한 윤 의원의 발언으로 인해 공관위원들도 최대한 관련 언급을 자제하며 공천 심사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8일 공개된 윤 의원이 친박계 중진 B의원과 전화통화한 내용이 담긴 녹취록에 따르면 윤 의원은 “김무성이 죽여버리게. 죽여버려 이 XX. (비박계) 다 죽여. 그래서 전화했어”라며 “내가 당에서 가장 먼저 그런 XX부터 솎아내라고. 솎아내서 공천에서 떨어트려버려 한 거여”라고 김 대표를 컷오프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박계와 비박계는 이 사안을 놓고 장외에서 치열한 공방을 전개하고 있다.
김 대표의 핵심 측근인 김학용 비서실장은 녹취록이 공개된 뒤 즉각 언론에 문자메시지를 통해 “언론보도를 접하고 내 귀를 의심할 지경”이라며 “먼저 당대표에 대한 증오서린 욕설과 폭언을 서슴없이 하는 것에 대해 충격을 금할 수 없다”고 격분했다.
그는 특히“이러한 발언을 한 의원이 당내에서 공천을 받고 이번 총선에 나간다면 국민들은 우리 새누리당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정말 너무나 걱정이 된다”며 사실상 윤 의원의 공천 배제를 요구했다.
김무성 대표측 인사로 대표적 비박계인 홍문표 사무부총장은 9일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본인이 저렇게 참 입에 담지 못할 막말을 했기 때문에 저는 정계를 스스로 은퇴를 하든지 자기 거취를 결정해야 할 그런 상황이 아닌가 이렇게 본다”고 윤 의원의 정계은퇴를 요구했다.
그는 더 나아가 윤 의원이 정계은퇴나 총선불출마 선언을 하지 않을 경우,“저희 당에는 당헌당규가 있고 이보다 더 작은 막말도 심의를 심사를 하고 있는데 이 선거를 앞두고 과거에 야당에서 노인 폄하 발언을 해서 노인들 화를 내게 했던 일 있지 않나”라고 말해, 사실상 공천 컷오프 사안임을 강조했다.
김 대표의 또다른 핵심 측근인 김성태 의원은“당 대표를 배제한 총선을 치르겠다는 건지,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이 가지 않는다”며“정상적인 당의 모습이 아니다”라고 사안의 엄중함을 강조했다.
반면 친박계 핵심 의원은 이날 “사인간에 얘기한 것을 누가 몰래 녹음을 해서 이를 언론에 전달한 것 자체가 심각한 문제 아니냐"며 "정말 정치공작 냄새가 난다”고 불법 녹취물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누군가 의도적으로 윤 의원이 술김에 한 말을 의도적으로 녹취한 것”이라며 불법 녹취 후 언론에 전달된 자체를 거듭 정치공작으로 규정했다.
친박계 또다른 의원도 “본인이 사과했으면 그러면 끝이지 이 문제를 이렇게 키우는 게 당에 도움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밖에서 대외적으로 욕한 것도 아니고 어디 다른데다가 전화한 것을 음험하게 녹음한 게 더 문제가 아니냐”고 반문했다.
한편 윤 의원은 파문이 일파만파 번지자 이날 오전 11시께 자신의 지역구에서 급거 상경, 김무성 대표를 찾았지만 문전박대 당했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장으로 자신에게 사과하러 온 윤 의원에 대해 “만날 상황이 아니다”라고 면담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의원은 김 대표와의 면담이 불발된 후 기자들과 만나 자신의 욕설 파문 녹취록에 대해 공식 사과하면서도, 불법 녹취 문제를 거론하며 “의도적인 음모”라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일단 대표님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말씀을 드린다. 그리고 여러분 모두에게 사과드린다”고 고개 숙이면서도“취중의 사적 대화까지 녹음해서 언론에 전달하는 행위는 의도적인 음모”라고 반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