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개혁특위 천정배 위원장은 내년 지역구 국회의원 공천문제와 관련, "인위적인 물갈이에 해당하기는 하지만 미니멈(최소한도) 수준의 전략공천을 의무화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천 위원장인 20일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오찬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역구 국회의원 공천은 국민참여경선이 원칙"이라면서도 "공천은 절차 뿐 아니라 결과도 좋아야 한다. 일정 정도는 물갈이가 돼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호남 물갈이론'과 관련, "특정지역을 하라고 할 수 없지만 제도적으로 전략공천을 어느 정도 이상으로 하라고 의무화하면 자연스럽게 물갈이가 될 것"이라며 "토론을 통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비례대표 국회의원 공천에 대해 "과감하게 25∼30세 청년, 정책당원에 배분하거나 직능단체에 추천권을 줘야 한다"며 "영남 등 취약지 진출을 위해 석패율 제도를 도입하되 안되면 당 차원에서 이른바 `슈퍼스타K'방식(지역별 순회 공개경쟁)을 통해 비례대표를 배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야권의 선거연대와 관련, "이론적으로는 내년 총선.대선에서 민주당 밖에서 야권 단일후보가 나올 수 있는 만큼 (민주당이) 공천하지 않는 것도 당헌에 넣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차기 공천권을 현 지도부가 행사해야 한다는 당 일각의 주장에 대해 "당헌.당규에 따라 차기 전당대회가 10∼11월에 개최되면 이는 총선 6개월 전"이라며 "이 때부터 현 지도부가 예비후보를 정해 공천을 할 수 있겠느냐"고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는 `역선택 방지를 위해 같은 날 국민참여경선을 하자'는 한나라당의 제안에 대해 "개혁안을 만든 뒤 협의하겠다"고 말했고, 특위 개혁안을 둘러싼 당내 논란에 대해선 "특위 내에선 개혁안도 전당원 투표로 결정하자는 아이디어도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