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노르웨이에 본부를 둔 이란인권단체(IHRNGO)는 두 달 전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한 이후 이란 보안군이 최소 326명을 살해했다고 주장했다.
12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이 단체는 이날 사망자 수에 대한 업데이트 수치에서 어린이 43명과 여성 25명을 포함한다고 밝혔다.
이란 내 비정부 언론과 인터넷, 시위운동이 모두 탄압을 받고 있는 상태여서 CNN은 자체적으로 이 수치를 검증하진 못했다.
이란은 히잡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도덕경찰에 구금된 22세의 쿠르드계 이란 여성 마흐사 아미니가 사망한 이후 가장 크고 전례 없는 반대 시위에 직면해 있다.
아미니의 죽음에 대한 대중의 분노는 이란 이슬람공화국의 억압적인 정권에 대한 다양한 불만과 결합되어 시위를 부채질하고 있다. 특히 사법부가 시위자들에게 "관용을 베풀지 말라"고 촉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 국민들은 시위를 계속하고 있다.
체포 위협과 관련자들에 대한 더 가혹한 처벌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유명 인사들과 운동선수들은 최근 몇 주 동안 반정부 시위를 지지하기 위해 나섰다.
IHRNGO는 사망자 수 증가에 대해 국제사회가 '확실하고 시의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고, '이슬람 공화국 당국이 그들의 심각한 인권 침해에 대해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메커니즘을 수립할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마흐무드 아미리 모가담 IHRNGO 대표는 "유엔에 의한 국제 조사와 책임 메커니즘을 수립하는 것은 앞으로 가해자들에게 책임을 묻는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이슬람공화국에 의한 지속적인 탄압의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IHRNGO에 따르면 시위가 시작된 이후 22개 주에서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대부분은 시스탄과 발루치스탄, 테헤란, 마잔다란, 쿠르디스탄, 길란주에서 발생했다.
이란 당국은 또한 테헤란 지방에서 시위 가담 혐의로 최소 1000명을 기소했다. IHRNGO는 수십 명의 시위자들이 '보안 관련 혐의'를 받고 있으며 처형될 위험에 처해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이란 사법부는 반정부 시위 참가자 1명에게 현재 사형을 선고한 상태다.
이란 사법부와 연관 있는 뉴스 사이트 미잔에 따르면 혁명재판소는 반정시위 동안 관공서에 불을 지른 혐의를 받은 시위자에 사형을 선고하고, 다른 5명의 시위자에는 국가안보 위협과 공공질서 문란죄를 적용해 징역 5년에서 10년의 중형 판결을 내렸다.
이란 법원이 지난 수주 동안 전역을 휩쓸며 성직자 통치의 종식을 요구한 반정시위에 참가했다가 체포당한 사람을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한 것은 처음이다.
미잔은 혁명재판소의 여러 지원이 이같이 판결을 내렸다고 전했지만 시위 참가자에 대한 자세한 신원이나 이들이 항소할 수 있는지에는 언급하지 않았다..
혁명재판소는 1979년 이슬람 혁명 후 생겼으며 이란 성직자의 통치에 반대하는 이들에게는 엄중한 처분을 내려왔다.
유엔 전문가들은 이란 당국에 "평화적 시위에 참여하거나 참여한 혐의로 사형에 처해질 수 있는 사람들을 기소하는 것을 중단하라"며 "사형을 시위를 진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 것도 멈추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