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측 연락사무소 오전 통화 시도에 북측 불통
정부 "12시 이후 상황 지켜보고 적절히 대응"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통일부는 9일 "남북간 통신선은 소통을 위한 기본 수단이므로 남북간 합의에 따라 유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의 남북 통신선 차단 방침에 대한 정부 입장으로 이같이 밝힌 뒤 "정부는 합의 준수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낮 12시부터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통신선을 포함해 남북 간 모든 통신선을 차단하겠다고 했다.
군의 동·서해 통신선, 노동당~청와대 직통전화(핫라인)선, 남북 통신시험선 등도 북한이 예고한 조치에 포함되는 소통채널이다.
북한은 이날 오전 9시 연락사무소 간 개시 통화에 응하지 않았다. 남북은 지난 1월30일 연락사무소 운영 잠정 중단 이후 매일 오전·오후 2차례 통화로 연락 업무를 유지해왔다.
이 당국자는 평소대로 오후 5시에 마감 통화를 시도할 지와 관련, "(통신선 차단이) 오늘 12시 이후로 예고된 만큼 상황을 보고 그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통신선 단절을 연락사무소 폐쇄로 해석하는지에 대해서도 "12시 이후 진행되는 상황을 지켜보고 판단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대남사업을 대적사업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데 대한 정부 입장을 묻자 "그 표현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또한 북한이 통신선 단절의 명분으로 삼는 대북전단 살포 규제와 관련해서는 "지금 다각적으로 검토가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번 건을 제외하고 지금까지 총 6건의 남북 통신선 단절 사례가 있었다"며 "전통문이나 방송을 통해 미리 알리거나 아무런 조치 없이 일방적으로 중단한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