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상과당, 설탕보다 건강에 더 해롭다고 볼 근거 없어"

2015.01.09 13:36:12

중앙대 정명섭 교수 '액상과당 오해와 진실' 토론회서 주장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액상과당이 설탕보다 건강에 더 해롭다는 것은 오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명섭(중앙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지난 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 주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액상과당(HFCS) 오해와 진실 토론회'에서 "소비자들은 액상과당(HFCS)과 과당·설탕의 차이를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다"며 "액상과당이란 명칭 때문에 액상과당을 100% 과당으로 오인하는 소비자들이 의외로 많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액상과당은 과당(55%)·포도당(40%)·맥아당 등(5%)으로 구성된 감미료로, 구성 성분에서 설탕(과당50%·포도당 50%)과 별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또 소비자의 불필요한 오해를 사지 않도록 액상당·혼합당 등으로 용어를 바꿀 것을 제안했다.

토론회에선 액상과당이 설탕보다 단 맛이 강해 설탕을 대체하고 있다는 속설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설탕의 감미도를 1로 잡았을 때 과일에 든 (순수) 과당은 1.5로 더 달지만 액상과당은 0.77로 오히려 설탕보다 덜 달다"고 말했다.

유통 중인 대다수 액상과당엔 설탕보다 과당이 약간 더 들어 있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고 오히려 과당(42%)이 설탕보다 적게 든 액상과당도 있다는 것.

또 정 교수는 "설탕이나 액상과당 모두 과다 섭취하면 충치를 일으킬 수 있다"고 전제한 뒤 "충치 예방을 위해선 설탕이나 액상과당의 함량에 신경 쓰기보다 치아 사이에 끼는 식품을 섭취한 뒤 바로 칫솔질을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아울러 '액상과당이 알레르기를 일으킨다'는 일부의 걱정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정 교수는 "액상과당을 생산하는 도중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단백질 성분(옥수수 단백질)이 대부분 제거된다"며 "액상과당이 알레르기를 유발한다는 연구보고도 없다"고 말했다.

액상과당이 비만·당뇨병·고지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일부 우려에 대해서도 정 교수는 "사실 무근이거나 (순수) 과당을 이용해 실시한 연구결과를 과당이 아닌 액상과당 탓으로 확대 해석한 결과"라고 전했다.

그는 액상과당은 (과다 섭취하지 않는 한) 비만과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며, 그 근거로 미국 메릴랜드 대학 리처드 포쉬 교수팀 등의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지난 2007년 포쉬 교수는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액상과당 자체가 과체중과 비만의 원인이란 근거가 불충분하다"고 발표했다.

최창진(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355명의 비만 환자에게 설탕 또는 액상과당을 10주간 제공해본 연구결과가 올해 미국에서 발표됐다"며 "설탕을 섭취한 사람들과 액상과당을 먹은 사람 사이에서 혈압·인슐린 분비량ㆍ식욕 조절 호르몬 분비량ㆍ간이나 근육의 지방 함량의 차이가 없었다”고 소개했다.

이어 "액상과당이 비만과 특별한 관련성이 없으며 액상과당 등 첨가당으로 인한 당뇨병 발병 위험은 직접적이지 않다"며 현재까지의 연구결과, 액상과당이 설탕 등 다른 종류의 첨가당에 비해 건강에 더 해롭다는 증거는 불충분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김정현(배제대 가정교육과) 교수도 "액상과당이 설탕보다 더 나쁘다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는다"고 동의를 표했다.

이동호(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과당은 간에서 대사가 이뤄지므로 다량의 과당을 6개월 이상 섭취하면 지방간이나 지방간염이 생길 수 있다"며 "이는 설탕이나 액상과당 등 과당이 포함된 감미료에 모두 해당하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하지만 설탕·액상과당 등 첨가당의 과다 섭취가 비만·지방간·고지혈증 등 건강에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데는 모두 같은 의견이었다.

정명섭 교수는 "설탕이나 액상과당 섭취가 혈중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도 있다"며 "이와 관련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동석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