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유엔 총회 제3 위원회에서 북한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고 책임자를 제재할 것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권고하는 북한 인권 결의안이 통과된 데 대해 중국이 반대 입장을 밝혔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유엔 총회에서 이 결의안이 채택된 데 대한 중국의 입장을 묻는 말에 중국이 반대표를 던졌다면서 그 이유를 설명했다고 BBC 중국어판 등이 전했다.
훙 대변인은 "중국은 인권 문제를 정치화하고 인권 문제가 다른 국가에 압력을 가하는 수단이 되는 데 대해서 줄곧 반대해 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유엔 안보리는 인권 문제를 토론하는 적합한 장소가 아니라고 생각하며 북한 인권 문제를 ICC에 회부하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역설했다.
이 같은 발언으로, 북한 지도부가 ICC에 회부될 가능성이 중국의 반대로 희박하다는 예상이 한층 분명해졌다.
아울러 중국은 세계 여러 국가들은 건설적인 대화와 협력으로 국제 인권 문제에서의 의견 분쟁을 처리해야 한다고 일관되게 주장한다고 훙 대변인은 덧붙였다.
유엔 총회 제3위원회는 18일 해당 북한 인권 결의안을 찬성 111표, 반대 19표, 기권 55표로 통과시켰다.
한편 이에 앞서 중국은 지난 3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서도 북한 인권조사위 보고서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당시 제네바 주재 중국 유엔대표부의 천촨둥(陳傳東) 참사관은 보고서에 대해 "당사국 북한의 지지와 협조를 얻지 못한 북한 인권조사위가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으로 임무를 수행하기는 불가능했을 것"이라면서 "독립적으로 작성된 보고서가 근거 없는 주장을 펴고 있으며 권고 내용이 현실과 동떨어졌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