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미국 국무부는 제임스 클래퍼 미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을 데리고 나오는 과정에서 북한 당국에 사과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는 입장을 밝혔다.
10일(현지시간) 젠 사키 국무부 대변인은 CNN 방송에 출연해 클래퍼 국장의 사과 여부에 대한 질문에 "그런 보도는 부정확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클래퍼 국장은 자신이 억류 미국인 2명을 데리고 나오는 임무를 맡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특사라는 내용이 담긴 짧은 서한만 북측에 전달하고 미국인들을 데리고 나왔다"면서 "그가 한 임무는 그것이 전부"라고 설명했다.
이어 "억류 미국인을 석방하는 과정에서 북한에 지급한 대가는 없다"며 "이번 일은 북한과의 협상이나 외교적 돌파구를 열기 위한 것이 아니다"고 언급했다.
앞서 CNN은 지난 9일 북한 정부가 "오바마 대통령으로부터 억류 미국인들의 행동에 대해 진심 어린 사과를 받았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사키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도 유엔 인권 결의안의 권고대로 북한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를 추진할 것임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그는 "북한과 관련해 최악의 인권기 록, 핵기술 추구와 능력에 대한 미국의 우려는 변한 것이 없다"며 억류자 석방과 북한의 비핵화 협상은 별개라고 선을 그었다.
사키 대변인은 클래퍼 국장이 직접 북한을 방문한 것은 "장관급이자 정보 당국자인 클래퍼 국장의 파견으로 미국인들의 귀환 가능성이 더 커질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그가 핵이나 인권 문제에 연관된 인사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번 방북이 협상의 시작이라는 신호를 주지 않기 위한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