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일본이 올 베이징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중국과의 정상회담을 개최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는 가운데 중국이 기존 입장이 변함없다고 주장하면서 기껏해야 10~15분 동안의 양국 정상 간 비공식적 만남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7일 중국 환추스바오(環球時報)는 일본 측이 양 정상이 대화를 갖기로 하고 대화 형식에 관해 최종 조율 중인 것으로 전했지만 중·일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신문은 또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총리의 '외교 책사'와 최측근으로 알려진 인사가 베이징을 방문했지만 중국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도 이미 일본의 정상회담 요구를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그러나 환추스바오는 교도통신 소식통을 인용해 회의 주최국으로서 중국은 필요한 예의를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아베 총리와 악수를 나누면서 짧은 인사말을 나누거나 10~15분의 비공식적인 만남은 가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아베 외교 책사인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국가안보국장이 양국 간 정상회동 논의를 위해 이날 베이징으로 떠났으며 양제츠(楊潔篪)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등과 '막판 조율'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일본 고위급 정계 인사의 방중 특히 지난달 말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전 총리가 시 주석 등과의 만남이 이뤄진 가운데 중·일 정상회담 실현 가능성이 커졌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정상회담 성사는 양측이 중국 측이 제안한 조건을 둘러싸고 타협점을 찾을 지 여부와 연관된 가운데 일본 정부가 중국이 제안한 조건을 받아들일 의향이 없다고 분명히 밝히면서 정상회담을 불발할 가능성이 한층 커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은 그동안 중·일 정상회담의 조건으로 센카쿠 영유권 분쟁의 존재를 인정하면서도 문제의 해결은 뒤로 미루는 방안을 일본이 수용할 것과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 중단 약속 2가지를 일본 측에 요구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일본 측은 일부 양보안을 제시한 바 있다. 그 내용은 APEC 기간 중·일 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아베 총리가 회담에서 ▲'센카쿠는 일본의 고유 영토다' ▲'다만 중국이 독자적인 주장을 하는 것은 알고 있다' ▲'시간을 갖고 대화에 의한 해결을 지향한다'는 3가지 주장을 밝힐 것이라는 내용이다.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