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4차 발사에 성공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27일 새벽 1시 13분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주 임무인 위성 13기를 계획된 궤도에 무사히 안착시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주항공청,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7일 새벽 2시 40분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열고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했다고 밝혔다.
누리호는 이날 1시 13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발사됐다. 이후 1단 분리, 페어링(위성 덮개)분리, 2단 분리에 이어 발사 후 약 12분21초만에 목표궤도 600㎞에 도달했고,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차중3호)를 성공적으로 분리한 뒤 1시 31분 비행을 종료했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새벽 1시 55분 남극세종기지 지상국과 초기 교신에 성공했다.
이번 4차 발사가 새벽에 이뤄진 것은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의 지구 자기권 플라즈마와 오로라·대기광 관측을 위해서다. 고도 600㎞에서 이를 관측하는데, 빛이 매우 희미해 태양광이 약한 새벽 시간대만 정밀 관측이 가능하다. 이에 적도를 지날 때마다 현지 시각이 오후 12시30~50분이 되는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해야 한다. 발사 시각이 최종적으로 새벽 1시13분으로 정해진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번 발사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의 제작·조립을 총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정부가 주도하던 우주산업이 민간으로 중심축이 바뀌는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우주청과 항우연은 2027년까지 진행되는 누리호 고도화 사업을 통해 누리호를 2차례 더 발사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