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삼성·SK·현대차·LG, 800조 사상 최대 국내 투자

2025.11.24 15:19:04

삼성 5년간 450조…SK도 128조 이상 적극 투자
현대차 125.2조·LG도 100조 이상 투자 계획 중
LG, 소부장 60조 투입 ‘승부수’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삼성·SK·현대차·LG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국내에서도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한국과 미국 간 ‘조인트 팩트시트(JFS)’ 최종 확정 이후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한편,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국내 생산기반 확보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대미 투자 규모가 확대되면서 국내 제조업의 공동화를 우려하는 목소리에,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 약속으로 화답한 것이다.

 

삼성·SK·현대차·LG, 대규모 국내 투자

 

지난 16일 국내 주요 재계 총수들이 이재명 대통령과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 회의를 통해 대미 관세 협상의 큰 고비를 넘긴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며 대규모 투자 및 고용을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이 참석하여, “이번 한미 협상 타결이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정부의 협상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을 앞당길 여지가 커졌다고 평가하고, 반도체·AI·조선·그린에너지·바이오 등 핵심 분야 전략을 구체적으로 냈다.

 

이재명 대통령은 재계 총수들을 만나 한미 간 무역 합의가 이뤄진 것과 관련해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없도록 잘 조치해 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이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제 이런(한미 협상 타결) 결과를 바탕으로 저희 기업들은 후속 작업에도 차질이 없도록 정부와 적극 협조하겠다”며, “(이 대통령이) 국내 산업 투자가 축소될 걱정을 했는데, 일부에서는 우려가 있겠지만 그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국내 투자 축소 우려에 선을 그으며, 향후 5년간 매년 6만 명을 채용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했다. SK는 용인 클러스터 중심으로 최대 600조 원대 반도체 투자를 예고했고,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6~2030년 국내에 125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LG는 향후 5년간 100조 원 투자 중 60%를 소재·부품·장비 역량 강화에 투입할 방침이다. HD현대와 한화는 미국 조선시장 진출 확대와 병행해 향후 5년간 각각 15조 원, 11조 원 규모의 국내 투자를 추진한다.

 

셀트리온은 미국 2조 원, 국내 4조 원 투자를 병행하며 글로벌 임상 데이터 공유, AI 기반 원격의료 플랫폼 구축 등 신사업 전략도 제시했다.

 

삼성 450조 반도체 공장 등 증설…고용창출도 한몫

 

삼성은 향후 5년간 연구개발(R&D)을 포함한 국내 투자에 총 450조 원을 투입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삼성전자는 메모리 수요 대응을 위해 평택캠퍼스 공장 투자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평택사업장 2단지 5라인의 골조 공사를 추진하기로 했다. 삼성전자가 추진하는 평택캠퍼스 5공장의 경우 60조 원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인공지능(AI)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중장기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생산라인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며, 안정적인 생산 인프라 확보를 위해 각종 기반 시설 투자도 병행 추진한다.

 

삼성 측은 “향후 5라인이 본격 가동되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과 국내 반도체 생태계에서 평택사업장의 전략적 위상은 더욱 커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삼성SDS도 AI 인프라 확대를 위해 전남에 국가 컴퓨팅센터와 구미AI데이터센터 등 다거점 인프라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 컴퓨팅센터는 오는 2028년까지 1만 5,000장 규모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확보하고 학계,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에 이를 공급함으로써 글로벌 AI 3강으로 도약하겠다는 정부의 목표를 뒷받침하게 될 전망이다.

 

또한, 오는 2003년까지 경북 구미 1공장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완공해,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관계사 중심으로 AI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에 구축 중인 8.6세대 IT용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생산 시설에서 오는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제품을 양산할 예정이다.

 

삼성전기는 지난 2022년부터 고부가 반도체 패키지기판 거점 생산기지인 부산에 생산 능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은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또, SSAFY(삼성청년SW·AI아카데미) 등 다양한 청년 교육 사회공헌사업도 펼치고 있으며, 청소년 교육·상생 협력 관련 CSR(기업사회책임) 프로그램은 직·간접적으로 8,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재용 회장은 “R&D도 포함해 국내 시설 투자를 더욱 적극적으로 해 나가겠다”며,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은데 삼성은 지난 9월 약속한 대로 향후 5년간 6만 명씩 국내에서 고용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SK, 반도체 공장 투자 비용 계속 증가

 

SK그룹도 오는 2028년까지 128조 원 이상을 국내에 투자한다. 최태원 회장은 “반도체 메모리 수요 증가와 공정 첨단화 등으로 투자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용인 팹(공장)만으로도 600조 원 정도의 투자가 앞으로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SK는 경기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조성에 중장기적으로 600조 원을 투자한다. 반도체 메모리 수요 증가 및 공정 첨단화 등으로 투자 규모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최 회장은 이어 앞으로 투자 비용이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최 회장은 용인 팹 4개 건립 비용만 600조 원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당초 용인 반도체 일반산단 조성을 시작한 지난 2019년에는 총 120조원이 들 것으로 예측됐는데, 이제 공장 하나당 120조 원 이상이 필요해 졌다는 것이다.

 

SK하이닉스는 오는 2027년부터 용인클러스터의 첫 번째 공장을 가동하면서 HBM4, HBM4E 등의 차세대 HBM 제품들을 주력 생산할 전망이다. 또한, 용인클러스터에서 세계 최고층 낸드이자 가장 최신 제품인 321단 낸드를 만들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다. 앞서 회사는 낸드의 생산량 절반 이상을 321단 제품으로 전환하도록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SK하이닉스의 용인클러스터 공장은 D램·HBM·낸드 등을 총망라한 핵심 기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SK하이닉스는 올해 11월 가동을 시작한 청주 M15X 팹 건립에 20조 원을 투입했는데, 오는 2027년 상반기 완공 예정인 용인 1기 팹은 이보다 투자 규모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이 공장과 업무 시설 건설에만 9조 4,0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가 조성 중인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의 전체 면적은 415만㎡로, 이 중 절반(47.5%)을 SK하이닉스가 사용한다.

 

현대차 AI-로봇산업 등 125조 투입

 

이번 관세 협상의 최대 수혜 기업으로 꼽힌 현대차그룹은 내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 국내에 125조 2,000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직전 5년간 집행한 89조 1,000억 원보다 36조 1,000억 원 늘어난 규모로, 연평균 투자액은 25조 원을 넘는다. 기존 대비 40% 이상 확대된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이번 투자의 핵심은 세 가지로서 ▲AI 데이터센터 ▲피지컬 AI 어플리케이션센터 ▲로봇 완성품 제조 및 파운드리 공장 등이다.

 

현대차그룹이 울산·광명·화성을 하나의 전기차 생산벨트로 통합해 국내 전동화 기반을 재편한다. 울산 전기차 전용 공장, 광명 이보 플랜트, 화성 PBV 전용 공장을 잇는 생산축을 완성해 오는 2027년까지 연간 60만대 규모의 전기차 생산 체제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조정기에 접어든 상황에서도 국내 제조 역량을 강화해 품질 경쟁력을 높이고, 중장기적으로 전기차 생태계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포석으로 읽힌다.

 

현대차는 내년 1분기 가동을 목표로 울산 전기차 전용 공장 준공을 위한 막바지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과거 종합주행시험장으로 사용한 54만 8,000㎡ 부지에 연간 20만 대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건설하는 것으로, 투입한 비용만 2조 원이 넘는다.

 

여기서 현대차그룹이 국내 전기차 수요 정체, 미국 정부의 해외 현지 생산 압박 등의 여건에도 불구하고 국내 전기차 전용 공장 확보를 차질 없이 이행하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부분이다. 현대차그룹이 해외 현지 생산 규모를 늘리는 와중에 국내에서도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는 의미다. 향후 전기차 시대를 대비해 국내 전기차 생태계를 빠르게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여기에 현대차그룹의 국내 전기차 전용 공장 확보 이면에는 전기차 품질 경쟁력을 통해 수요 정체를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깔려 있다는 진단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수요 정체에도 국내 전기차 공장 구축을 이행하는 것은 그만큼 국내 전기차 생태계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읽힌다”며, “현대차그룹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전기차 시장 경쟁 속에서도 국내 전기차 산업을 위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LG, ‘소부장’에만 60조 투입

 

LG그룹도 향후 5년간 100조 원을 국내에 투자한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이 중 60%를 소재·부품·장비 기술 개발과 확장에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LG그룹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분야에만 60조 원의 자금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구체적으로 어떤 사업들을 키워갈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LG전자가 확장 중인 전장(차량용 전자·전기장비) 및 냉난방공조(HVAC) 뿐만 아니라, LG 생산기술원의 반도체 장비 등 핵심 기업간거래(B2B) 사업에 대규모 자금 조달이 이뤄질 전망이다.

 

LG는 향후 5년 동안 100조 원을 국내에 투자하며 이 중 60%인 60조원을 소부장 기술 개발 및 확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지난 16일 구광모 회장은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국내 산업 생태계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며, “첨단 기술에 필요한 소부장을 국내에서 개발·생산하는 혁신 생태계를 키워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자국 위주 정책 및 관세, 미중 갈등 등 지정학적 공급망이 큰 변화를 겪는 가운데, 대규모 자금을 투입해 소부장 중심의 안정적 제조 공급망을 구축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밖에 LG에너지솔루션의 원통형 배터리 생산라인 확충, LG화학의 차세대 전지 개발 등에도 자금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 투자금 100조 원 중 나머지 40조 원은 AI 분야에 많은 부분 쓰일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LG AI연구원의 AI 모델 ‘엑사원’에 대한 R&D가 대표적인 투자처로 꼽힌다. LG전자의 AI 가전, 스마트홈 개발에도 쓰일 가능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LG는 이번 투자를 통해 사업 구조가 안정적이고 수익성이 높은 B2B 사업을 본격 확장할 것”이라고 전했다.

 

K-조선, 기술로 가능…방산시장 입지 키워

 

미국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하면서 K-조선의 핵잠수함 시대가 열리고 있는 가운데 한국 조선사들은 이번 승인을 글로벌 방산 시장, 특히 잠수함 시장에서 입지를 탄탄히 다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보고 있다.

 

지난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정리한 조인트 팩트시트에 미국이 한국의 핵추진 공격형 잠수함(원자력추진잠수함) 건조를 승인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미국은 이와 함께 조선업 협력을 진전시키기 위해 연료 조달 방안을 포함한 사업 요건을 한국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HD현대는 향후 5년간 약 15조 원의 국내 투자를 진행한다. 에너지 분야와 AI 시대 로봇 사업에 8조 원, 조선해양 분야에 7조 원을 투입한다. 한화그룹은 국내 조선과 방산 분야에서만 향후 5년간 11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HD현대의 조선 중간지주사 HD한국조선해양도 미국의 대표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인 테라파워(Terra Power)에 투자하며 이 분야 협력을 늘리고 있다. 업계는 특히 미국의 핵 추진 잠수함 승인이 장기적으로 한국의 방산 수출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핵추진 잠수함은 기존 디젤 잠수함과 달리 안정성 조치가 필요하지만 국내 조선사들의 기술 역량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주요 기업들의 투자는 비수도권 지역에 집중될 전망이다. 삼성은 삼성전자의 플랙트그룹 광주시 공장, 삼성SDS 전남 국가 컴퓨팅센터·구미 AI데이터센터,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 삼성전기 부산사업장 등에서 투자가 진행된다.

 

SK그룹도 영남·서남권에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셀트리온은 3년간 인천 송도, 충북 오창, 충남 예산에 총 4조 원의 시설 투자에 나설 예정이다.

홍경의 tkhong1@hanmail.net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