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형 금리가 3년 만에 3%대로 내려왔다. 본격화된 기준금리 인하 국면 속에서 시장 지표 금리가 빠르게 하락하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변동형 주담대 금리와 고정형 주담대 금리 격차는 0.1%p 미만으로 좁혀지게 됐다.
19일 한국은행의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전체 예금은행이 지난 6월 신규 취급한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연 3,99%로 지난 5월(3.97%)에 이어 두 달 연속 3%대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 2022년 6월(3.87%) 이후 4~5%대를 기록하다 약 3년 만에 3%대를 나타낸 것이다.
변동형 주담대 금리가 내려가면서 고정형 주담대 금리와의 격차는 줄어들게 됐다. 지난 6월 기준 고정형 주담대 금리가 3.92%를 나타내면서 변동형 주담대 금리와의 격차는 0.07%p 수준에 그쳤다. 지난해 6월까지만 해도 변동금리형 주담대의 평균 금리가 연 4.2%로 고정형(3.69%)보다 0.51%p 높았다. 그러나 변동형 주담대 금리가 빠르게 떨어지면서 두 금리의 격차가 축소된 것이다.
은행들은 지난해 금융당국의 고정형 주담대 확대 주문으로 우대금리 등 가산금리 조정을 통해 고정형 주담대 금리를 변동형보다 더 낮게 유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 일부 은행에서는 변동형 주담대 금리가 고정형 주담대 금리보다 낮아지는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하나은행의 신규취급액 코픽스 기준 변동형 주담대 금리(6개월)는 4.197~5.497%로 5년물 금융채 기준 고정형 주담대 금리(4.214~5.514%)보다 0.017%p 낮은 상황이다.
아직까지는 금리 수준이 더 낮은 고정금리 대출 상품에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지만, 변동형 대출금리가 추가로 내려갈 경우 어떤 대출을 선택해야 할 지 차주들의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은행권 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지난 7월 신규취급액 기준 2.51%로 전월 대비 0.03%p 하락했다. 지난해 10월부터 10개월 연속 떨어지면서, 지난 2022년 6월(2.38%) 이후 3년 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에 따라 KB국민은행의 신규 코픽스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6개월)는 이날부터 연 3.93∼5.33%에서 3.90∼5.30%로 0.03%p 내려갔다. 우리은행의 신규 코픽스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6개월)도 3.90∼5.10%에서 3.87∼5.07%로 낮아졌다.
반면 고정형 주담대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 금리는 오르고 있다. 금융채 5년물(AAA) 금리는 지난 5월 말(2.807%)에서 이달 13일 기준 2.819%로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