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뉴욕 증시는 9일(현지시간) 이번주 예정된 물가 지표와 기업 실적 공개를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30 산업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112.96포인트(0.34%) 하락한 3만3517.6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99포인트(0.08%) 내린 3892.09에 장을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66.36포인트(0.63%) 상승한 1만635.65에 장을 닫았다.
투자자들은 12일 나올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주 후반 예정된 기업들의 분기 실적을 주시하고 있다. 이번 주 후반에는 웰스파고, 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 체이스, 씨티그룹 등 대형 금융주들의 실적이 발표된다.
지난 주 발표된 고용 보고서에서 임금 상승률이 둔화하는 것을 확인한 투자자들은 지난해 12월 CPI에서 인플레이션이 추세적으로 둔화하고 있는지 기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지난달 CPI가 전년 동월보다 6.6% 상승해 11월 상승률 7.1%에서 둔화됐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보합(0.0%)으로 전달의 0.1% 상승보다 완화됐을 것으로 전망됐다.
가격 변동성이 큰 두 항목을 제외한 근원CPI는 11월 6% 상승에 이어 12월 5.7%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하면서도 고용이 탄탄하고 기업들의 실적이 크게 악화하지 않는다면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