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오스트리아 ‘난민상한제’ 도입 여파가 동유럽 국가로 번지고 있다.
오스트리아 정부는 지난 15일 독일을 최종목적지로 하는 난민들만 받기로 한 데 이어 20일 올해 망명신청자 수를 3만7500명으로 제한하는 등 향후 4년 간 총 인구의 1.5% 이하로 억제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오스트리아가 2019년까지 받게 될 난민신청자 수는 12만7500명이다. 그동안 국경 안으로 들어온 난민은 일단 수용했으나, 앞으로는 상한을 넘는 난민들은 강제 송환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런 방침이 발표되자 동유럽 국가인 세르비아와 슬로베니아 정부도 난민 유입을 제한하기 위한 조치들을 내놓았다. 앞서 알렉산다르 불린 세르비아 사회부 장관은 20일 오스트리아 정부가 같은 조처를 했다며, “최종 망명처로 오스트리아와 독일을 희망하는 난민만 자국 국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슬로베니아 정부도 21일(현지시간) 국경 통과를 선별적으로 허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슬로베니아 내무장관 베스나 기오르코스 즈니다르는 “오스트리아와 독일에서 망명신청을 하려는 난민만 받겠다”며 “21일 밤 10시(현지시간)에 크로아티아에서 들어오는 첫번째 기차에서 내린 난민들에게 해당 조치를 적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슬로베니아는 이미 크로아티아에 이번 계획을 통보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슬로베니아가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 국제적 보호 요청을 하지 않는 난민들을 크로아티아로 되돌려 보낼 때, 크로아티아 정부가 어떤 식으로 반응할 지 아직 알 수 없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한편 세르비아와 남부 국경에 인접한 마케도니아 정부는 20일 그리스 국경을 잠정적으로 봉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