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한국이 2014년과 2015년에 이어 올해에도 '블룸버그 혁신지수' 평가에서 세계1위를 차지했다.
블룸버그통신은 19일(현지시간) '2016년 블룸버그 혁신지수'에서 한국이 91.31점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독일은 한국보다 6점 가까이 떨어지는 점수(85.54)로 2위에 올랐다. 스웨덴과 일본은 85.21과 85.07로 각각 3위와 4위를 차지했다. 이어 스위스(84.96)와 싱가포르(84.54), 핀란드(83.80), 미국(82.84), 덴마크(81.40), 프랑스(80.39)등이 10위권 안에 들었다.
한국은 ‘제조업 부가가치’와 ‘고등효율’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연구개발 강도’와 ‘최신기술 응축도’, ‘특허활동’ 부문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연구원들의 집중도는 6위에 올랐다. 한국은 생산성 부문에서는 39위에 오르는 데 그쳤다.
웰스파고증권(Wells Fargo Securities LLC)의 국제 경제학자인 제이 브라이슨 박사는 “만일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혁신지수가 높은 경제는 생산성 신장을 불러오게 돼 있다. 세월이 흐르면서 생활수준의 향상도 따라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워싱턴에 있는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의 마커스 놀란드 박사는 “한국은 저임금을 기반으로 한 중국과 첨단기술을 지니고 있는 일본 틈새에 끼어 있기 때문에 불안감과 절박감을 느끼고 있다”며 혁신기술 개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주요국가 ‘G2’인 미국과 중국은 블룸버그 혁신지수에서 각각 8위(82.84)와 21위(72.12)를 차지했다. 브라이슨 박사는 중국이 경제 수준에 비해 뒤처지는 점수를 받은 이유는 중국의 기술들이 대부분 스스로 개발한 것이 아니라 외국의 것들을 베낀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 혁신지수 50위권에는 아프리카와 남미 나라들도 올라와 눈길을 끌었다. 아프리카에서는 튀니스가 51.18로 46위, 모로코가 48.85로 48위를 차지했다. 남미에서는 유일하게 아르헨티나가 48.82점으로 49위에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