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정부가 중국에 남·북·중 협력을 추진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23일 "이번에 중국(APEC정상회의)에 가서 외상회담 과정에서 중국과 남·북·중(회교장관회담)도 해보자는 얘기를 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지금이야 북·중관계가 어려워 조기에 하긴 어렵겠지만 남·북·중(외교장관회담)을 하게 되면 여러가지 좋은 사업들이 검토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여러 조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외교부는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외교부는 "우리 측은 동북아 역내 소다자(小多者)협력 활성화 차원에서 한·미·일, 한·일·중, 한·미·중, 남·북·러와 더불어 남·북·중 간에도 유사한 협력을 추진하면 좋을 것이란 생각을 중국 측에 전달한 바는 있지만 남·북·중 외교장관회담을 제안한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미 지난 18일 주한 외교단 남해안 방문행사에서도 동북아 역내에서 한·미·일, 한·미·중, 남·북·러, 장기적으로 한·중·러, 남·북·중 등 다양한 형태의 소다자 협력을 활성화해 나가고자 한다는 취지로 언급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이 당국자는 "박근혜정부 3년차를 맞는 외교부는 내년에 올해보다 더 바쁠 것"이라며 "외교일정이 폭주하고 있다. 외상회담도 140회 이상 했다. 외무장관 전화회담까지 합하면 아마도 전무후무한 기록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내년 9월에 개발정상회의, 12월에 파리에서 기후변화회의가 열린다"며 "내년 말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입장에선 가장 중요한 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