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북한 나진항을 통해 러시아산 석탄을 수입하는 시범운송사업이 오는 29일 마무리된다. 남북한과 러시아간 경제협력 사업인 나진·하산프로젝트의 첫 성과란 점에서 주목된다.
21일 통일부 당국자에 따르면 러시아 서시베리아 푸스바스 광산에서 채굴한 유연탄 4만500t은 블라디보스토크와 하산을 거쳐 북한 나진으로 24일까지 운송된다.
나진항으로 옮겨진 석탄은 24일부터 28일까지 중국 국적의 5만6000t급 벌크 전용선에 적재된다. 이 과정에서 코레일·포스코·현대상선 등 국내 3개 기업 컨소시엄 관계자 12명과 통일부 당국자 1명이 현장을 점검한다.
우리측 점검단은 러시아 철도공사와 합동으로 석탄 하역과 선적, 선박 입출항, 철도 항만 연결성 등 나진항 연계 육해운 복합 물류과정 전반을 기술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선박의 나진항 출항 시점은 28일 오전 10시다. 포항항 도착시점은 29일 밤으로 예상된다. 항로상으로는 36시간이 걸린다.
석탄 수입 주체인 포스코가 지불한 금액은 400만달러로 알려졌다. 이 금액은 북한과 러시아 합작사인 '라선콘트란스'에 지불된다. 러시아와 북한의 지분구조가 7대3인 만큼 이 비율에 따라 수익금이 배분될 예정이다. 북한에 지불되는 금액은 나진항 항만사용료 등으로 알려졌다.
◇석탄운송사업 장기계약 추진…라선콘트란스 인수도 검토
코레일·포스코·현대상선 등은 이 사업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 장기계약을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기계약을 할수록 비용이 떨어져 수익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나진항을 통해 석탄을 들여올 경우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직접 수입할 때보다 유류비 등 비용이 10~15% 하락하는 만큼 매력적이란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게다가 장기계약을 맺으면 비용은 추가하락하고 이익은 더 커지게 된다.
다만 남북관계와 미국·러시아관계의 불안정성이 사업의 걸림돌이다.
남북관계가 악화돼 사업이 갑자기 중단될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기업들 입장에선 위험부담이 있다.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북한 제재를 위해 발동된 5·24 조치와 이번 사업의 관계도 불안요소 중 하나다. 정부가 이번 사업을 5·24조치의 예외로 규정하고 있긴 하지만 남북관계에 따라 상황이 급변할 수도 있다.
우크라이나 동부 병합사태로 인한 미국과 러시아간 갈등도 이 사업의 위험도를 높이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이 우크라이나 사태를 이유로 대러시아 제재를 추진하고 있는 탓에 그 불똥이 이 사업에 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3사 컨소시엄은 북한과 러시아 합작사인 라선콘트란스의 러시아 지분 중 절반을 사들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러시아와 합작법인을 만들고 이 합작법인이 다시 라선콘트란스 지분을 매입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며 "다만 수익성을 따져서 추후 별도 협상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