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북한의 수도 평양에서 택시가 급증하면서 당국이 운행을 규제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고 일본 지지(時事)통신이 21일 보도했다.
지난 9월 평양을 방문해 북한 내 택시 운전기사들을 상대로 청취 조사를 벌였던 베이징 주재 동아시아학 연구자 아라마키 마사유키(荒巻正行·46)는 "택시업계에 새로운 외국계가 대거 참여해 갑작스럽게 택시 대수가 늘어났다"며 북한의 택시업계는 지금 '여명(黎明)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있으며 수요에 맞춘 도태가 시작되고 있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평양에서는 2011년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을 전후해 중국산 택시가 등장하기 시작해 올 초에는 약 500대까지 늘어났지만 지난 5월 홍콩과 합작한 택시회사가 새로 500대의 택시를 투입함에 따라 택시 대수가 1000대 규모로 2배로 늘어났다.
홍콩과의 합작회사 택시는 'KKG'라는 로고를 달고 있다.
아라마키에 따르면, 택시 급증에 따라 북한 당국은 번호판 끝자리 수를 기준으로 홀수와 짝수 차량으로 나누어 각각 홀수 일과 짝수 일에만 운행하도록 규제를 실시해 하루 운행 대수를 500대 규모로 제한하고 있다.
평양에서 과거에 보였던 낡은 차체의 택시는 거의 사라지고 2가지 색상의 새로운 택시들이 거리 곳곳을 누비고 있다.
미터제가 도입돼 기본요금은 4㎞까지 2 달러. 지불은 달러나 위안화 등 외화로만 가능하지만, 다른 사람과 합승 등 서민들 사이에서도 일상적으로 이용되고 대학생들이 통학에 이용하는 모습도 눈에 띈다.
아라마키는 "서비스업에서 경쟁이 생겨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평양에 다이나믹한 시장경제 시스템이 정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소비에 선택의 여지가 생기면서 평양에 구매력 있는 중산층이 출현하고 있다 "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