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홍은영 기자]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번 누리호 발사는 핵심기술 확보에 큰의미가 있다"며 "내년 5월 예전된 2차 발사에서 반드시 성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임 장관은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21일 오후 7시경 누리호 발사 관련 브리핑을 진행했다.
임 장관은 "오늘 오후 5시 발사된 누리호가 전 비행 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했다. 다만 3단 엔진이 조기 연소 종료돼 위성모사체가 고도 700km의 목표에는 도달했으나 7.5km/s의 속도에는 미치지 못해 지구 저궤도에 안착하지 못했다"고 당일 진행된 누리호 발사과정을 설명했다.
이어 그는 "오늘 발사는 아쉬움을 남겼으나 1단 엔진 점화→이륙→1단 엔진 연소 및 1단 분리→페어링 분리→2단 엔진 점화 및 연소→2단 분리→3단 엔진 점화 및 연소→위성모사체 분리 등 국내 독자개발 발사체의 첫 비행시험으로서 주요 발사 단계를 모두 이행했다"며 "발사체 핵심 기술을 확보했음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륙 후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이 정상적으로 진행됐으나 3단에 장착된 7t급 액체엔진이 목표된 521초 동안 연소되지 못하고 475초에 조기 종료돼 위성모사체가 지구 저궤도에 진입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됐다.
과기부는 항우연 연구진과 외부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발사조사위원회’를 즉시 구성하여 3단 엔진 조기 종료의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2차 발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임 장관은 "오늘의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해 나가면서 더욱 분발해 국민 여러분과 함께 우주를 향한 우리의 도전을 멈추지 않고 우주 강국의 꿈을 이루어내는 날까지 계속 나아가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소관 부처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아니라 독립적인 우주청을 정부 조직에 신설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한 질의에 대해서는 "우주 전담기구 필요성에 많은 분이 많이 공감할 것 같다"면서 "전문성, 연속성을 가진 조직 필요성에 공감이 있을 것이고 이를 언제 할지에 대해서는 제가 지금 말씀 드리기는 어렵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