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연석의 행복부자학] 부란 무었일까?

2014.11.19 18:28:43

부란 무엇일까?

어떤 정치인은 행복지수란 ‘충족시킨 욕구의 양’이란 분자와 ‘충족시키려는 욕구의 양’의 분모를 가진 분수로 표시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구’는 끝이 없는 무한대이고, 그 무한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원의 양은 한정되어 있는 유한대이다. 그러므로 유한한 것을 무한한 것으로 나누면 어떻게 될까. ‘0’이라고 간단하게 풀어버린다.
사람이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무한대로 유지하는 한, 그는 끊임없이 불만족하고, 더 나은 것, 더 편리한 것, 더 화려한 것을 요구하며, 그것을 충족시키면 또다시 새로운 것을 갈구하게 되는 영원한 순환에 빠지게 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상태에 있는 한 결국 사람의 행복지수는 영원히 제로일 뿐이다. 우리 모두 자문해 보자.
“나는 행복한가? 보다 행복해졌는가? 이제 만족하는가?”
충족시킨 욕구의 양을 보다 크게 만들 것인가. 그러기 위해서 더 많은 부를 쌓아야겠다고 다짐할 것인가. 아니면 충족시키려는 욕구의 양을 무한에서 유한의 세계로 끌어내릴 것인가.
우린 지금까지 어떻게 하면 여유로운 생활을 위한 자산을 만들것인가, 어떻게 하면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는가를 고민해 왔다. 즉 자산을 늘려 자녀를 남보다 더 훌륭하게 키우려는 욕구, 남보다 더 좋은 주택, 은퇴 후에 남보다 경제적으로 더 풍요로운 생활에 대한 욕구를 실현시키기 위한 그런 방법과 투자전략에 대해 긴 지면을 할애해서 여러분을 설득해 왔다. 그럼 필자는 여러분의 부질없는 욕구만 키워 놓은 것인가.
우리의 주제를 음미해 보자. 행복한 부자! 부자 앞에 ‘행복한’이란 수식어가 붙어 있다는 사실을 상기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단순히 자산이 많은, 꼬박꼬박 알을 낳아 주는 훌륭한 자산을 가진다고 해서 ‘행복한 부자’라고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살아가면서 돈이 필요한 이유와 충분한 자산의 확보 노력은 정당하다.

“항산이 없는데도 항심을 유지할 수 있는 부류는 오직 군자일 뿐이다. 일반 백성으로 말하자면 항산이 없으면 항심 역시 이를 따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백성들에게서 항심이 없어진다면 이들은 온갖 나쁜 길로 빠져들어 거리낌 없이 아무짓 이나 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일반 백성들이 범죄의 유혹에 빠져 죄를 짓게 되고, 죄를 지었다 하여 이를 처벌하게 된다면 이것은 백성들을 덫을 쳐놓고 그물로 잡는 것과 매한가지다. 군자의 인격을 가진 군주라면 어떻게 백성들을 이렇게 만들 수 있는가?” <맹자>

항산이란 생업이다. 항심이란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을 유지함이다. 우리 대부분은 성인이 아니다. 법정스님처럼 산짐승 뛰노는 산골짜기에서 소박하고, 사욕 없으며, 버리고 떠나기를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그런 분을 우리는 성인이라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우리 대부분에겐 생업이 필요하고, 생업으로 인한 소득이 필요하며, 소득의 저축·투자를 통해 자산을 점증시켜 돈의 수요에 대비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우린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인성조차도 지키기 버거운 어쩌면 매우 약한 존재인지도 모른다.
그럼 얼만큼의 부가 필요한가. 그건 여러분에게 달려 있다. 여러분이 가진 마음의, 인격의 그릇 크기에 달려 있다. 어떤 이는 단 천만원의 돈도 담아둘 수 없는 반면 어떤 사람은 세기 힘들 정도의 부를 가지고 있어도 그 부로 인해서 자신을 해치지 않는다. 와인 잔에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지면 물을 담기는커녕 넘치고 넘어지고 결국 바닥에 부딪쳐 깨지기 마련이다. 돈으로 인해 여러분 자신을 해치지 않기를 바란다.
로또에 당첨된 상당수의 사람들이 결국 횡재한 돈으로 인해 불행한 삶을 사는 것은 그 이유가 있는 것이다. 돈보다 먼저 여러분이 그 돈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의 크기를 더 크게 만들기를 바란다.
사회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어떤 적절한 대책과 사회적 합의가 없다면, 양극화의 격차는 더 벌어지지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다.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는 투자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양극화 역시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여러분의 자산이 커지고 커져 여러분의 그릇 상단을 넘실거릴 때, 아낌없이 그 부분에 나눔의 미덕을 발휘할 수 있다면 사회 양극화는 극단으로 치닫지 않을 것이다.
‘나눔’은 결국 남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위한 ‘이기적인 길’임을 깨달았으면 하는 자그마한 바람이다.

오연석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