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00일’ 이종걸 “상생·통합정치 실현할 것”[종합]

2015.08.17 19:44:54

“유승민 사태로 의회주의 뽑혀…삼권분립 아닌 일권전횡”
“경제시스템, 중소기업 성장 지원 정책으로 전환시킬 것”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의 원내사령탑인 이종걸 원내대표가 17일“19대 국회의 밀린 숙제를 다 마친다는 심정으로 민생정치의 최전선에 서겠다”며 상생과 통합의 정치를 위해 ‘경제민주화 시즌2’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집무실에서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큰 정치의 시대를 위해 새로운 100일에는 용기를 가지고 더 분발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100일간의 업무와 관련, “잘 해보려는 의욕을 가지고 시작했는데 솔직히 답답한 상황”이라며 “국회가, 의회정치가 무너졌고, 의회민주주의가 위기에 빠졌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유승민 사태를 보면서 의회주의 나무가 뿌리 채 뽑히는 것을 봤다”며“여당이 사라지고 국회는 반쪽이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협상해야 할 상대가 보이지 않는다”며“대화도 협상도 없고 오직 대통령만 있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이 청와대에 흡수돼 삼권분립이 아니라 일권전횡을 만들었다”며“삼권분립정신에 맞는 역할과 목소리를 내겠다”고 다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번 국정감사와 정기국회는 19대 국회 마지막”이라며“여당이 없으면 우리 야당이 메르스 대책을 선제적으로 이끈 것처럼 국민과 함께 과감하고 혁신적인 입법과 정책으로 대한민국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민주화 시즌2와 관련, “시즌1의 미진한 성과를 반성한다”며 “민생 제일주의를 위해 '경제민주화 시즌2'를 열겠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경제민주화 관련 토론회를 두 번 열었고, 재벌개혁특위도 구성했다"며 "본격적인 재벌개혁 논의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경제민주화 시즌2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고 기업과 노조가 공존하는 새로운 성장경제를 만드는 것”이라며“우리 경제시스템을 구체적인 중소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전환시키겠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공공임대주택의 임대료 상승 조정을 위한 시스템 등을 정비해 임대료 상승 부담이 없는 제도를 만들겠다”며 “노동정책에서는 노동시장의 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90%가 넘는 비조직 노동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노동위원회법, 산업안전보건법(산업안전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 등을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재벌과 대기업이 중소기업에게 전가하는 불공정하고 부당한 하도급거래와 관행을 과감하게 혁신해 새로운 민생중심의 성장경제를 창출하겠다”며“정기국회 동안 각 상임위별로 민생안정과 경제활성화를 위한 '입법전쟁'을 치르고, 민생중심의 예산을 최우선에 두는 '예산투쟁'을 벌이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당내 불협화음과 관련, “상생하는 통합의 정치가 필요하다”며“다양한 소수 의견을 대변해 더 큰 갈등을 막아내는 완충역할을 했다고 자부한다”고 밝혔다.

그는 문재인 대표와 엇박자를 낸 것에 대해서도 “문 대표와 나는 당의 양 날개”라며“다르지만 틀리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어 “작은 갈등을 부채질하는 데 기여했다는 세간의 평가도 충분히 이유가 있다고 보고, 그 점에 대해 국민께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야권 신당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새정치연합은 60년의 유래를 가진 당”이라며 “저도 번호를 넘나들며 당선됐지만 이번에는 번호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예감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내 동물적 감각”이라고 덧붙였다.

이 원내대표는 총선룰에 대해서는 “지역주의와 국민의 참정권 절반이 사표로 사라지는 현 선거제도를 뛰어넘는 '참정권 1.0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제 소신이기도 한 독일식 정당명부 비례대표제(연동형)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회 상황과 관련해서는 “제1여당이 대통령의 뜻에 굴복하면서 통법부의 길을 걷고 있기 때문에 협상이나 대화가 자율적·독립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성완종·메르스·탄저균·국정원 불법 해킹 사건 등이 진전되지 않고 있다”며“모두가 다 굵직한 국정조사대상인데, 이런 내용을 통째로 국감이전에 협의해 진행할 수도 있고, 불가능하다면 어떤 이유로 불가능한지 국민께 보고드리겠다”고 말했다.

김세권 kbs6145@naver.com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