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장시목 기자]청도군(군수 김하수)은 고령화율 45%, 지방소멸위험지수 0.097로 소멸 고위험지역임에도 불구하고, 2025년 6월 기준 출생아 수가 전년 대비20.9%(9명)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청도군이 저출생 극복을 위해 1인당 최대 2억 5,700만원 상당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정책을 시행하는 등 인구감소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한 결과로 분석된다.
신혼부부부터 임신‧출산, 영아, 학생, 청년에 이르기까지 5개 단계별로 실질적이고 체감 가능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정책을 촘촘히 추진해 군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인구 유입과 정착을 유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가고 있다.
연번 |
분 야 |
내 용 |
지원액(백만원) |
계 |
5개 분야 |
|
257 |
1 |
신혼부부(결혼) |
신혼부부 주거자금 대출이자 지원 등 |
20 |
2 |
임신‧출산 |
백일해 예방접종 지원, 출산장려금 지원 등 |
71 |
3 |
영아 |
첫만남 이용권, 국가필수 예방접종 지원 등 |
52 |
4 |
초‧중‧고등학생 |
중고등학생 교복구입비 지원 등 |
11 |
5 |
대학생‧청년 |
청년 월세 지원, 청년근로자 사랑채움 사업 등 |
103 |
<청도군 생애주기별 지원정책 현황>
한편, 청도군은 생애주기별 지원정책 외에도 2025년 행정안전부 고향올래 사업에 선정되어 총 14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으며, 경상북도 주관 1시군 1생활인구 특화 프로젝트, 소규모마을 활성화사업 등 인구활력 공모사업 3개 분야에서 13억 1,400만원을 확보했고, 지방소멸대응기금사업과의 연계를 통해서도 생활인구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유입된 생활인구의 정주인프라 제공을 위해 지역활력타운 50호, 행복주택 42호, 매입임대주택 44호 및 만원주택 10호, 총 146호의 주택을 공급한다.
이 외에도 민간 주도의 청도형 자생 돌봄공동체(2개소→8개소) 확대 운영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통해 아이 낳고 아이 키우기 좋은 I 희망 청도 만들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김하수 청도군수는 “청도군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정책은 군민들의 삶을 지속적으로 배려하고, 그들의 성장과 안정을 끝까지 책임지는 중요한 정책이다”며, “앞으로도 청도에서 태어나고 자라는 모든 사람들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전폭적 지원을 할 것이며, 청도가 누구나 살아가고 싶은 도시로, 더욱 매력적인 삶의 터전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