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미현 기자] 정부가 내수기업을 수출기업으로 키우기 위해 수출 지원 체계를 대폭 개편한다.
중기부는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디지털 경제 시대 수출 신시장 개척을 위한 '중소기업 수출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이날 오전 서울 한국수출입은행 본점에서 간담회를 열고 수출 중소기업과 전문가들에게 '중소기업 수출지원방안'의 추진배경과 주요내용을 설명하고 참석자들의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이번 지원방안은 최근 수출 어려움을 극복하고 변화하는 글로벌 환경에 선제 대응해 중소기업을 수출의 주역으로 육성하기 위해 마련했다"며 "중기부는 '조연에서 주연으로, 중소기업이 뒷받침하는 단단한 수출강국 실현'을 목표로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먼저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디지털 분야 신 수출시장을 확대하고 글로벌 강소기업을 육성한다. 항공 수출 중소기업 전용 물류센터가 조성된다.
이 방안에 따르면 중기부는 플랫폼 기반 온라인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입점, 홍보, 물류, 배송 등 온라인 수출 전 과정을 원스톱 패키지로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하고 인천공항에 국내 최초의 항공 수출 중소기업 전용 물류센터도 조성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이번 지원 방안을 통해 지난해 39%(간접수출 포함) 수준인 중소기업의 수출 기여도를 2027년 5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수출액 목표도 1175억 달러에서 1500억 달러로 높이고, 수출액 1000만 달러 이상 중소기업은 2027년까지 3000개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콘텐츠와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공급기술 등 신산업 분야 해외전시회에 중소기업의 참여를 지원하고 서비스 수출지원 쿼터제를 도입해 우수한 서비스 수출기업을 수출정책에 우대한다.
중기부는 글로벌 유니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벤처·스타트업의 중동·유럽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벤처펀드 조성, 교류행사 개최, 글로벌 대기업과의 협업 프로그램 확대 등 벤처·스타트업의 글로벌화를 돕는다.
중기부는 글로벌화로 무장된 강한 기업 육성을 위해 '내수기업 세계로 1000+'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간접수출기업 등 국내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은 중소기업 1000개사에 수출바우처 지원한도를 2배로 확대하고 정책자금도 우선 지원한다.
'글로벌 강소기업 1000+' 프로젝트도 마련했다. 중기부는 분산된 수출기업 지정제도를 '글로벌 강소기업' 브랜드로 통합한다.
글로벌 강소기업은 수출바우처를 자동적으로 지원 받는다. 수출액 500만 달러 이상인 수출기업은 수출바우처 외에도 R&D(연구개발), 정책금융, 스마트공장 등 총 9억원의 패키지 프로그램을 제공 받는다.
'수출국 다변화(+N)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정부는 수출지원사업 평가지표에 다변화 지표를 20% 신설한다. 다변화에 나서는 중소기업이 수출지원정책 참여 시 자부담을 10% 완화해 수출국 다변화에 도전하는 기업을 우대 지원한다.
중기부는 품목별·국가별로 수출 경쟁력 우위와 수출국 시장상황 등을 반영해 다변화 필요성을 분석하고 원하는 중소기업에 정보를 제공한다.

중기부는 현장 수요에 기반한 수출지원체계를 구축한다. 뉴욕, 도쿄, 두바이 등 주요 글로벌 무역거점에 설치된 수출인큐베이터를 더 많은 중소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오피스 형태의 '글로벌비즈센터'로 개편하고 현지 한인협단체와 기업인 간의 협업의 거점으로 활용한다.
K팝 한류공연과 수출박람회를 융합한 'K-POP with K-BRAND' 행사와 최근 한류가 확산 중인 중동 시장 개척을 위한 'K-콘텐츠 엑스포 in 두바이', 민간 유통사와 협업을 통한 'K브랜드 엑스포' 등 현지에서 대형 박람회를 열고 중동, EU(유럽연합), 미주 등 전략시장에 대한 수출전시회 참여지원도 확대한다.
정부는 전세계적인 해외규격인증 요구 확대에 대응해 기업 수요가 많은 CE(유럽), NMPA(중국), FDA(미국) 등 6대 인증 중심으로 전담대응반을 운영하고 연중 상시접수와 간이심사를 지원하는 패스트트랙을 신설한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탄소중립 관련 인증은 인증별로 지원한도도 확대한다.
아울러 중소기업이 급격한 환율변동 등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환변동보험료·수출보험료를 지원하고 17조8000억원 규모의 수출금융을 제공한다.
지역별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의 기업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하고 접수된 건의사항 등은 범부처 합동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과 공동으로 신속하게 처리한다.
이 장관은 "중소기업은 직·간접적으로 수출의 40%에 기여하면서 우리 경제의 뿌리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글로벌 경기침체 등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 이를 극복하고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성장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수출지원방안에 담긴 정책들이 현장에서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