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콧물 치매진단 조기에...비싼 검사비 안 들여도 될까
DGIST, 콧물로 초기에 치매진단 신개념 기술 개발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간단한 콧물 시료 검사로 치매 조기 진단이 가능한 기술이 개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뇌·인지과학전공 문제일 교수 연구팀이 치매환자 콧물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핵심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베타(β) 응집체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최근 국내에서 급격한 고령화로 치매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만 60세 이상의 노인 인구 중 치매환자 수는 약 82만명이다. 이는 전체 노인 인구 중 7%가 넘는 수치다.
이에 따라 매년 16조원에 달하는 치매환자의 관리비가 발생한다. 오는 2050년에는 현재의 약 4배의 치매환자와 8배의 치매환자 관리비가 필요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치매환자의 70%는 가장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고 있다. 이 가운데 60%는 정도가 경미한 최경도 및 경도 치매환자다.
치매 근원적 치료법이 없는 국내 의료계 상황에서 경미한 치매상태를 조기 진단하면 증세 악화와 지연이 가능하게 된다.
DGIST 등에 따르면 출시된 치매 치료제들은 적절한 시기에 투여해야 효과가 있기에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 진단이 중요하다. 하지만 많은 비용이 드는 뇌영상 촬영(MRI)이나 고통이 심한 뇌척수액 시료 채취가 필요한 침습적 검사법 등으로 인해 초기 치매 진단이 쉽지 않았다.
문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 발생하는 후각 기능 이상에 관심을 갖고 환자 콧물 시료를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 핵심 바이오마커인 수용성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 검출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