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문 대통령 “우크라 비상 사태, 선제적 대응하라”

“공급망, 실물경제, 거시경제 3개 분과별로 대응책 논의”
“금융부문, 사태 장기화 대비 규제 시한 연장, 유동성 공급 검토”

김백순 기자  2022.02.25 16:06:10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최근 매일 가동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TF(태스크포스)'를 통해 상황을 점검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참모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이같이 지시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청와대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산하에 기획재정부 1차관이 주재하는 우크라이나 비상대응 TF를 두고 공급망, 실물경제, 거시경제 3개 분과별로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

 

정부도 한국의 대(對) 러시아 경제제재 동참 이후, 우크라이나 사태 대응을 위해 기민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우크라이나 사태 대응을 위해 관계장관 회의를 열고, 대러 경제 제재 동참에 따른 지원책 등을 논의했다.

 

홍 부총리는 대러 경제제재에 따른 피해기업을 대상으로 무역금융과 최대 2조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을 시행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고승범 금융위원장도 이날 금융시장점검회의를 열고 대러 제재로 국내 기업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필요할 경우 최대 2조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또 사태 장기화시 원자재 가격의 급등,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청와대와 정부는 대러시아·우크라이나 교역 규모, 원자재·곡물의 비축·계약 물량 등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시장도 최대한 안정화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사태 장기화 등에 대비해 규제 시한 연장, 유동성 공급 등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