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21일 선관위 주관 TV토론을 마친 후 "오늘 플랫폼 사업과 데이터 산업에 대해 이해와 구분을 잘 하지 못하는 윤 후보의 발언이 가장 실망스러웠다"고 평가했다.
향후 선거운동에 임하는 자세와 각오에 대해서 "대한민국의 아주 엄중한 상황과 전 세계가 얼마나 빠르게 바뀌고 있는가에 대해 국민께 알려드리고 이런 상황에서 대한민국이 어떻게 생존할 수 있을 것인지, 우리가 4차 산업시대에 어떻게 새로운 일자리와 먹거리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 진심으로 다해 말하겠다. 거기에 대한 국민들의 판단과 평가를 받겠다"고 다짐했다.
앞서 이날 진행된 TV토론회에서 안 후보가 '정부 데이터 개방'에 대해 질문하자 윤 후보는 "공유할 수 있는 것도 있고 보안사항도 있다"고 답했다. 윤 후보의 답변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듯 안 후보가 미소를 지으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드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안 후보는 "데이터 산업이라는 거 자체가 공공데이터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면서 "정부에서 전혀 (데이터) 공개를 하지 않다 보니까 우리나라가 갈수록 뒤처지고 있다"며 "저는 차기정부의 가장 중요한 국정운영 목표 중의 하나가 사실 공공 데이터 공개라고 믿고 있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윤 후보가)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지금 확실하게 이런 문제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신 것 같아서 그 점이 우려가 된다"고 꼬집었다.
한편 윤 후보는 '디지털 데이터 경제'공약에 대해서는 "정보 데이터들이 물 흐르듯이 흐르고 있다. 이 속도들을 더 빠르게 해야 자율주행 자동차든지 4차 산업혁명의 총화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서 "5G(5세대 이동통신)나 데이터들이 신속하게 움직이고 이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것이 전부 클라우드에 모여서 직접 분석할 수 있는 AI(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그러자 윤 후보의 답변에 안 후보는 "그건 전부 하드웨어지 데이터나 인프라 쪽이 아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