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 불법사찰' 사건관련 증거인멸 의혹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 부장검사)은 22일 최종석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에게 이른 시일내에 출석을 통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 전 행정관은 지난 2010년 7월7일 장진수 전 주무관에게 민간인 사찰을 맡은 공직윤리지원관실 점검1팀과 진경락 기획총괄과장의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없애라고 지시한 의혹을 받고 있다.
또 당시 장 전 주무관에게 증거인멸과 관련된 접촉이나 연락수단으로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의 대포폰을 건넨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현재 미국 워싱턴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근무중인 최 전 행정관과 지속적인 연락을 통해 소환시기를 조율 중이며, 최 전 행정관도 검찰조사에 협조할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증거인멸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진 전 과장 등 다른 인물들도 필요할 경우 출석을 통보할 방침이다.
특히 장 전 주무관에게 4000만원을 건넨 것으로 알려진 고용노동부 간부에 대한 신원을 특정하고, 해당 간부를 조만간 불러들일 계획이다. 당시 장 전 주무관은 노동부 간부로부터 전달받은 4000만원 중 1500만원을 불구속에 대한 성공보수로 변호사에 지급했고, 남은 2500만원을 최 전 행정관에게 전달했다.
장 전 주무관은 검찰 조사에서 정확한 신원은 진술하지 못했지만 검찰이 비슷한 이름과 인상착의 등을 토대로 노동부내 해당 공무원의 신원을 특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전 청와대 비서관과는 아직까지 소환시기를 조율하거나 확정하지 않았지만, 증거인멸 지시행위에 대한 법리적인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최 전 행정관에 대한 소환은 아직 날짜가 결정 안됐다"며 "최 전 행정관을 조사한 뒤에 이 전 비서관을 조사한다곤 단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 20~21일 장 전 주무관을 상대로 두차례 조사에서 증거인멸 과정과 '입막음용' 금품수수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했다.
장 전 주무관은 전날 검찰에서 장석명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의 육성이 담긴 녹취파일은 검찰에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장 비서관의 이름이 거론된 녹취록을 증거물로 제출할 계획이라고 진술했다.
한편 장 전 주무관과 함께 공직윤리지원관실 하드디스크를 파괴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진 전 과장도 2심이 진행 중이던 지난해 청와대의 사찰개입 정황을 폭로하려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